검색결과
  • 약국들이 서민 건강 위협한다

    약사 면허가 없는 직원이 의약품을 판매하거나, 유효기간이 경과한 의약품을 판매하는 등 약국 내 의약품 판매·관리가 허술해 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유효기간이 지

    온라인 중앙일보

    2013.07.05 14:40

  • 자민련, 대법관 임명 동의안 표결 불참

    자민련이 10일 국회 대법관 임명동의안 표결에 결국 불참했다. 지난 3일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를 위한 국회법 개정안이 처리되지 않을 경우 모든 국회 표결에 불참한다" 고 한 결

    중앙일보

    2000.07.11 00:00

  • [의·약·정·시민단체 지상대담]

    24일 긴급 여야 영수회담에서 약사법 개정에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의료계에서는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며 환영하는 반면 약사회.시민단체측은 "정부가 의사들의 집단 행동에 굴

    중앙일보

    2000.06.26 09:34

  • [의·약·정·시민단체 지상대담]

    24일 긴급 여야 영수회담에서 약사법 개정에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의료계에서는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며 환영하는 반면 약사회.시민단체측은 "정부가 의사들의 집단 행동에 굴

    중앙일보

    2000.06.26 00:00

  • 長官이 局長에게 속아?

    韓-藥분쟁을 유발했던 93년의 약사법시행규칙 개정이 「사술(詐術)」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이런 주장을한 사람은 다른 사람도 아닌 당시의 보사부장관 안필준(安弼濬

    중앙일보

    1995.04.06 00:00

  • 民自 또 색깔논쟁 일까-前민주당 이우재.정태윤씨 영입키로

    민자당의 색깔논쟁이 다시 벌어질 것 같다.재야강경노선을 표방한 舊민중당 간판들이 민자당에 영입되기 때문이다.前 민중당공동대표출신인 이우재(李佑宰)씨와 민중당 대변인출신의 정태윤(鄭

    중앙일보

    1994.09.26 00:00

  • “우리장관 어떻게 되나” 술렁술렁/총리경질을 보는 각부처 표정

    ◎“몇명이나 바뀔까” 후임에 촉각/“쌀문제라면 정치권에 더 책임” 불만도/경제부처/잦은 실수·자질론… 경질설 우세/환경·보사/별 대과없어 유임쪽으로 기울어/노동·교육 황인성 국무총

    중앙일보

    1993.12.16 00:00

  • 새 약사법 이후의 과제(사설)

    오랜 진통 끝에 약사법 개정안이 확정됐다. 보건사회부의 당초 시안에 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의 조정안을 수렴해 마무리지은 것이다. 따라서 약사나 한의사 어느 쪽에도 흡족해하는 내용은

    중앙일보

    1993.10.09 00:00

  • 약사법개정,국민위주로(사설)

    한의사와 약사간의 영업분쟁 조정을 위해 20일 열린 약사법 개정에 관한 공청회에서도 예상대로 양측의 첨예한 대립은 여전했다. 약사측은 한약도 의약품이므로 약사가 조제권을 갖는 것은

    중앙일보

    1993.08.22 00:00

  • 한의사는 처방… 자격갖춘 약사가 조제/약사법 공청회 지상중계

    ◎한·약분업 논란/“한방특성상 불가능”/한/“한약표준화·값인하 도움”/약 지난달 5일이후 다섯차례의 약사법 개정추진위원회 회의를 거쳐 마련된 「약사법 개정에 관한 공청회」는 한의사

    중앙일보

    1993.08.20 00:00

  • “국민 피해주지 말고 싸워라”/한약분쟁 각계의 호소

    ◎영역다툼 말고 대화로 원만히 해결토록/이익단체 이기적 집단행동 뿌리 뽑아야 한의사회와 약사회의 한약조제권을 둘러싼 장외싸움에 시민들은 불안하다. 3월이후 4개월째 계속되고 있는

    중앙일보

    1993.06.26 00:00

  • 눈에 안보이는 방패망"첩첩"|"일수입개방"의 허와실

    일본의 시장개방률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결코 낮은 편이 아니다. 문제는 수입이 허가됐다해도 까다로운 법률망과 절차가 실제적으로 수입을 규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얼마든지 팔라고 문을

    중앙일보

    1985.06.25 00:00

  • TV 술·약광고전면 규제해야 한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오는5월1일부터 KBS제1TV에서 술광고및 유흥업소광고가 전면 폐지되며 제2TV에서도 알콜농도가 30도 이상되는 독한 술과 고급술의광고를 하지 않기로 했다고한다

    중앙일보

    1985.04.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