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S 2023] [팩플] 플랫폼은 가라, 기술이다… 거대한 전환 넷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23이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했다. [연합뉴스] 플랫폼은 가라 VR에서 메타버스까지 B2B 기술만 남고 그 모오든
-
땅이 꺼지거나 터지거나?…쓰레기 매립지 위 골프장의 오해
사용이 종료된 수도권매립지 1매립장 위에 들어선 골프코스. 사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 쓰레기사용설명서는... 「 "쓰레기 함부로 버리지 마라. 다시 보면 보물이니" 기후변화
-
친환경 물티슈는 고래를 구할까…변기에 버리는 물티슈의 진실
낚시줄과 비닐백이 꼬리에 매달려 있는 돌고래. [사진 eco2.com] ■ 쓰레기사용설명서는... 「 "쓰레기 함부로 버리지 마라. 다시 보면 보물이니" 기후변화의 시대,
-
'한국의 잡스'가 크고 있다…강남·구로·관악 골목이 분주하다
2017년 서울 관악구에서 문을 연 ‘랭디’는 영어와 중국어를 배우려는 일반인·학생들과 원어민을 연결해 주는 온라인 외국어교육 플랫폼이다. 일반적인 ‘전화영어’ 등과 달리 여러
-
"커피 테이크아웃이요? 300원 더 내세요"…6월부터 적용
지난 6일 서울 시내 한 카페에서 일회용컵에 음료를 제공하는 모습. 연합뉴스 오는 6월 10일부터 전국 주요 프랜차이즈 카페·패스트푸드점 등에서 일회용 컵에 담긴 음료를 사려면
-
K-게임, 글로벌 리더의 길을 묻다
·20일 ‘2022 K-게임 미래포럼’ 온·오프라인 개최 ·전문가들, K-게임 현재와 과제 분석 ·대선 후보들의 게임 공약 진단 및 차기 정부의 게임 정책 방향 제언 ·중앙SUN
-
음식 쓰레기, 12년 전 대책이 마지막…정부·지자체 관심이 없다
14일 인천 부평구 부평동에 위치한 한 아파트에서 업체 관계자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 기기를 점검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지난 12일 오후 5시 서울 강남구의 한 대형 뷔페식 음식
-
[디지털 세상 읽기] 위험한 챌린지
박상현 오터레터 발행인 미국에서 10대 사이에 가장 뜨거운 소셜미디어는 단연 틱톡이다. 페이스북이 X세대, 인스타그램이 밀레니얼 세대에게 가장 인기가 있다면 틱톡은 Z세대의 놀이
-
中 2030세대, 임대주택 대신 'OO' 산다
최근 중국에서 〈10년간 모은 저축 모두 털어 ‘마오피팡(毛坯房)’ 구매한 여성〉이란 기사가 네티즌의 이목을 끌었다. ‘마오피팡’이란 건물은 완공됐으나 타일, 벽지 등 내부
-
[더오래]집은 절토부에…성토부 사이에 걸치면 ‘피사의 사탑’
━ [더,오래] 손웅익의 작은집이야기(47) 이탈리아에 있는 피사의 사탑은 기울어져 있어 유명해졌다. 건축구조 측면에서 보면 건물을 받치고 있는 한쪽 지반의 침하현상이
-
[더오래]'공유의 비극’?…이웃 더 멀어지게 하는 공유주택
━ [더,오래] 손웅익의 작은집이야기(46)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는 ‘공유’가 화두다. 공유경제, 공유 사무실, 공유주택, 공유 자전거, 공유 갤러리…. 공유의 사전적
-
[월간중앙] 직격인터뷰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
까다로운 기업 상속공제 요건 때문에 투자 꺼리고 경영권 위협 노출 투자 늘리고 일자리 창출하는 기업이 혜택받도록 상속 규제 바꿔야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4월 2일
-
[더오래]서로 붙은 두 주택 ‘땅콩주택’…아파트 ‘옥수수 주택’?
━ [더,오래] 손웅익의 작은집이야기(45) 한 필지에 단독주택 두 집을 나란히 지은 모습이 한 깍지 안에 두 개의 알이 들어있는 땅콩을 연상시킨다는데 착안해 땅콩주택이라
-
빨간 막대 아이스크림? 선인장? 망원동 빌라의 놀라운 반전
서울 마포구 망원동의 빨간 선인장, '단단집'은 5가구가 사는 다가구 건물이다. [진효숙 작가] 주변을 돌아보면 남다르게 지은 좋은 공간이 많습니다. 뚝딱 지은 것 같지만 다르게
-
[더오래]여자화장실 변기 수 규제…배려 포장한 ‘역차별’ 법?
━ [더,오래] 손웅익의 작은집이야기(44) 우리나라 주택구조가 서구화되면서 가장 큰 변화를 꼽으라면 화장실일 것이다. 수세식으로 바뀐 것도 큰 변화지만 화장실이 집안으
-
[이코노미스트] 청년 주택난, ‘고시원’에 볕 들이는 방법은
주거빈곤 청년층이 자립하는데 디딤돌 되도록 유도해야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 1인 가구 수는 2015년 88만여 가구에서 2019년 614만여 가구로 7배 가까이 급증했다. 고시원
-
“바이든 시대에도 보호주의 계속…FTA 적극 활용을”
조 바이든 미 행정부에서도 계속될 자국 산업 보호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자유무역협정(FTA) 등 다자간 무역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바이든 행정부에서
-
“바이든도 보호주의 고수할듯…다자간 무역협력 적극 활용을"
왼쪽부터 최복희 중기중앙회 정책총괄실장, 김동호 중앙일보 논설위원, 조덕상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사회자인 강문성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 정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수원 행궁동 기묘한 '기와집 동네' 한방 먹인 독특한 집 한 채
[한은화의 공간탐구생활] 조성룡 건축가가 수원시 팔달구 행궁동에 지은 집. 동네에 원래 있었던 듯, 자연스런 집을 짓기 위해 되려 수많은 규제를 넘어야 했다. [사진 김재경
-
[서소문사진관]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 쓰레기는 어떻게 처리할까?
에베레스트에서 수집 된 쓰레기 자루가 지난 5월 27일 네팔 솔 룩부 부 지역의 남체 바자 르 (Namche Bajar)에 쌓여있다. [AP=연합뉴스]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8
-
[e글중심] 영화 ‘기생충’…'15세 이상 관람가' 등급 논란
■ 「 [뉴시스] 4일로 개봉 6일차를 맞은 영화 ‘기생충’은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으로 화제가 되며 누적 관객 수 370만 명을 넘겼습니다. 등급은 '15세 이상
-
[e글중심] 성별 화장실 변기 수 규제…"남편도 기다린다" vs "축구장은 어떻게?"
■ 「 [유튜브 JTBC 뉴스 캡처] '화장실 변기 수 규제'를 놓고 온라인 세상이 시끌시끌합니다. '여자 화장실의 대변기 수는 남자 화장실 대·소변기 합의 1.5배 이
-
[취재일기] 플라스틱 코리아, 이젠 안녕
김민욱 사회팀 기자 쓰레기는 자기가 무슨 ‘언덕’인 것처럼 서 있었다. 생리대·변기·신발·고무장갑·토사·콘크리트 등 온갖 쓰레기가 폐비닐과 뒤섞인 채였다. 지난달 충남 당진항 야
-
[안장원의 부동산 노트]억대 주방가구·히노끼 노천탕···럭셔리 아파트 끝판왕
━ 억대 명품 주방가구, 히노끼 노천탕...'럭셔리 아파트 끝판왕' 반포1단지 재건축 미리 가보니 남편끼리 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아내를 데리고 가지 말라는 곳이 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