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KAIST, 나노바이오 센서 원천기술 개발

    세포와 그 세포의 표면에 단백질을 발현시켜 병원균을 검출하거나 병을 진단할 수 있는 획기적인 나노바이오 센서 원천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중앙일보

    2004.08.11 10:02

  • [사이언스 브리핑] 세종대 천문대 外

    [사이언스 브리핑] 세종대 천문대 外

    ◇세종대 천문대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오는 17~18일 이틀간 제16회 별밤축제를 연다. 8인치 망원경을 이용한 니트 혜성 관측과 우주에 대한 강연이 있다. 02-3408-3345.

    중앙일보

    2004.05.12 17:51

  • 피 한방울 있으면 간염·癌 잡아낸다

    피 한방울 있으면 간염·癌 잡아낸다

    한국은 '간염 바이러스의 천국'이란 오명에 시달리고 있다. '술잔은 돌려야 제맛'이라며 밤새도록 오고가는 술잔이 바이러스의 전파에 일조한 결과 국내 만성 간질환자의 70%가 B형

    중앙일보

    2004.01.12 10:06

  • 피 한방울 있으면 간염·癌 잡아낸다

    한국은 '간염 바이러스의 천국'이란 오명에 시달리고 있다. '술잔은 돌려야 제맛'이라며 밤새도록 오고가는 술잔이 바이러스의 전파에 일조한 결과 국내 만성 간질환자의 70%가 B형

    중앙일보

    2004.01.07 15:23

  • 휴대용 질병진단 단백질 감지칩 개발

    혈액속에 존재하는 질병관련 단백질을 전기적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고속 질병진단 단백질 감지칩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

    중앙일보

    2003.12.19 10:08

  • [2003 지구촌 과학계 10대 뉴스] '광우병 없는 소' 세계 첫 복제

    [2003 지구촌 과학계 10대 뉴스] '광우병 없는 소' 세계 첫 복제

    서울대 수의과대 황우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광우병에 걸리지 않는 소는 올해 과학계의 대미를 장식했다. 세계인의 식탁과 축산업자들을 긴장시키고 있는 광우병을 원천적으로 차단

    중앙일보

    2003.12.17 16:23

  • 첨단 바이오센서 달아 혈당 측정 '모기 물린 듯'

    '덜 아프게, 더 간편하게'. 혈당수치 등 혈액을 이용한 검사를 더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첨단 '바이오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바이오센서란 생화학 반응에 의한

    중앙일보

    2003.10.07 15:49

  • 바이러스 색출 나노가 나섰다

    바이러스는 골칫거리다. 에이즈.암.독감 등 많은 질병을 만든다. 몸 안의 어디에 숨어 있는지 파악하기도 어려워 과학자와 바이러스간의 숨바꼭질은 지금까지 바이러스가 이기는 경우가 많

    중앙일보

    2003.10.07 15:36

  • 신맛·쓴맛 아는 '전자 혀' 개발

    국내 연구진이 신맛과 짠맛을 판별할 수 있는 '전자 혀'를 개발, 해외 저명학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받는다.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공학부 조성인 교수와 배영민 박사팀은 사

    중앙일보

    2003.07.21 18:13

  • "맛 판별 '전자 혀' 개발"

    국내 연구진이 식품의 기본 맛인 신맛과 짠맛을 판별할 수 있는 '전자 혀(elec- tronic tongue)'를 개발, 해외 저명학회서 최우수 논문상을 받는다. 서울대 농업생명과

    중앙일보

    2003.07.21 13:31

  • "이를 아름답게"…미백치약·전동칫솔 잘 팔려

    "이를 아름답게"…미백치약·전동칫솔 잘 팔려

    치아 관련 제품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입속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10만원대를 호가하는 전동칫솔이나 20만원이 넘는 음파칫솔의

    중앙일보

    2003.07.11 11:20

  • "이를 아름답게"…미백치약·전동칫솔 잘 팔려

    치아 관련 제품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입속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10만원대를 호가하는 전동칫솔이나 20만원이 넘는 음파칫솔의

    중앙일보

    2003.07.10 17:22

  • [2003년 2분기 특허기술상 수상자]

    [2003년 2분기 특허기술상 수상자]

    ***물 대신 공기로 화재 진압 대상인 세종대왕상을 받은 한국기계연구원 김수용 연구원(사진)은 대형 화재가 발생했을 때 압축.냉각시킨 대기 공기를 분출해 화재를 순간적으로 진압하는

    중앙일보

    2003.07.09 15:18

  • [미래를 준비하는 한국·유럽] 2. 정보·지식사회 구현

    지난 10년간 일상생활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온 기술발전은 과연 무엇일까? 인터넷.무선통신 단말기의 획기적 진보와 컴퓨터의 고성능.대중화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정보통신 단

    중앙일보

    2003.05.14 14:10

  • 바이오.피지오센서기술 연구센터 문열어

    부산대는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신개념 바이오.피지오센서기술연구센터(Center for Innovative Bio.Physio Sensor Technology)를 이 대학 화학관

    중앙일보

    2003.05.09 14:38

  • [부산·울산·경남 뉴스 포커스] 5월 8일

    *** 자치 행정 부산시는 오존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12일부터 9월 말까지 오존예보 및 경보제를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시는 지역을 6개 권역으로 구분,오존농도에 따라 주의보(0.

    중앙일보

    2003.05.07 18:45

  • [건강 신상품] 가정용 혈당측정기 外

    [건강 신상품] 가정용 혈당측정기 外

    ◇ 가정용 혈당측정기 KJ헬스케어는 병의원과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혈당측정기 '이지첵'(사진)의 시판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당뇨환자가 혈당관리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중앙일보

    2003.04.01 11:13

  • [건강 신상품] 가정용 혈당측정기 外

    *** 가정용 혈당측정기 KJ헬스케어는 병의원과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혈당측정기 '이지첵'(사진)의 시판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당뇨환자가 혈당관리를 원활히 할 수 있도

    중앙일보

    2003.03.31 16:10

  • [朴장관 중점추진 정책] 융합 新기술 육성에 전력

    박호군 신임 과학기술부 장관은 첨단기술에 만족하지 못하는 듯하다. 박장관의 임기 동안 특히 첨단기술의 융합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장관은 지난달 27일 취임식에서도 "바이

    중앙일보

    2003.03.05 15:59

  • [클릭] 눈동자가 ID다

    안녕하세요. 클릭아줌마예요. 이번 주 커버기사에서 여러분을 첨단 보안기술과 제품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정보화 시대는 정보가 가치를 가지는 세상을 말합니다. 이런 사회에서 정보가 새

    중앙일보

    2003.03.04 17:24

  • 美 유학 한국 여학생 새 DNA 검사법 개발

    미국에 유학 중인 한국 여학생이 데옥시리보 핵산(DNA)의 염기를 하나 하나 확인할 수 있는 획기적인 DNA 검사법을 개발했다. 주인공은 미국 노스웨스턴대 화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앙일보

    2002.02.23 00:00

  • 재미 女유학생, 획기적 DNA 검사법 개발

    나노기술을 이용해 극소량의 탄저균이나 병원균을 검출하는 것은 물론 암과 퇴행성 질환, 에이즈 등 질병진단에까지 활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DNA 검출기술이 재미 한국 여자 유학생에

    중앙일보

    2002.02.22 10:09

  • 신형 우주선 곤충 닮는다

    잠자리의 민첩성과 벌의 눈을 응용해 만든 초컬릿 바 크기의 초소형 우주선이 화성탐사 목적으로 발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주 과학자들은 여러 유형의 곤충들에 대한 얻은 연구

    중앙일보

    2002.02.01 01:54

  • 신형 우주선 곤충 닮는다

    잠자리의 민첩성과 벌의 눈을 응용해 만든 초컬릿 바 크기의 초소형 우주선이 화성탐사 목적으로 발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곤충들의 특성에서 착안한 기술들이 오는 2007년 화

    중앙일보

    2002.01.26 1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