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생명없는 식품」은 생명의 양식 못돼|일인 대포효추씨 초청「장수비결」강연서

    중앙일보와 동양방송이 주최한「오오우라·다까아끼」씨(대포효추·80·일본 인간의학회 회장)의 초청 강연회는 8백여명이 모인 가운데 7일 상업은행 본점 강당에서 열렸다. 『이제 겨우 8

    중앙일보

    1973.06.09 00:00

  • 미래기술 어느 해 무엇이 실현되나

    얼마 전에 미국의 저명한 출판사인 「매그로힐」사에서 제2회 미래 기술예측 결과를 발표했다. 동사는 지난 초년에 제1회 미래 기술예측 결과를 발표한바 있다. 이번에는 그 제1회 예측

    중앙일보

    1973.02.05 00:00

  • (101)

    맑은 향기와 아름다운 황색을 자랑하는 유자는 동양적인 과일이다. 원산지가 중국으로 알려진 유자나무는 운향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다른 감귤류와는 달리 비교적 추운 지방에서도 잘 자

    중앙일보

    1973.01.06 00:00

  • (98)호도

    예부터 자양강장의 효험이 있다고 해서 귀족들의 사랑을 받은 호도는 들깨에 버금가는 우수 영양식품이다. 양질의 단백질과 소화·흡수가 잘 되는 지방 성분을 다량함유하고 있어 동양뿐만

    중앙일보

    1972.12.04 00:00

  • 동양 의학의 빛

    이런 일화가 있다. 세기의 여우 「마릴린·몬로」가 지압「팬」이 된 이야기다. 일본 방문 길에 그는 공항에서 위경련을 일으켰다. 어찌할 바를 모르고 주저앉아 버렸다. 낭패할 지경이다

    중앙일보

    1972.11.23 00:00

  • 은행

    아무래도 속되지 않은 품위가 귀인다운 노란 은행잎이 아름다운 계절이다. 은행은 장수목이라고 해서 공손수라고도 불리는데 은행나무의 열매도 백과·불지감·압각자 등의 별칭을 지니고 있다

    중앙일보

    1972.11.17 00:00

  • ④|기업활동의 신장

    8·3조치는 결과적으로 한국경제의 사활이 산업합리화 여하에 달린 것으로 만들었다. 혁명적 요법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살릴 것이며 정부가 이를 어떻게 유도해 나갈 것인가에8·3조처의

    중앙일보

    1972.08.18 00:00

  • 폭로기사

    근착 미주간지 타임과 뉴스위크는 한 칼럼니스트의 이야기에 각광을 쏟고있다. 타임지는 커버·스토리로까지 클로즈업 시켰다. 그의 이름은 잭·노드먼·앤더슨, 당년 49세. 입을 앙다물고

    중앙일보

    1972.04.01 00:00

  • (44)붕어

    붕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대표적인 민물고기이다.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진 붕어는 예부터 잉어와 함께 민물고기의 귀물로 널리 알려지고 있다. 몸은 약간 길며 잉어에 비해 편평하다. 수염

    중앙일보

    1972.03.31 00:00

  • (23)닭고기

    최근 닭고기의 일반수요가 급증, 일반에게 보편화된 느낌이다. 닭고기는 쇠고기에 비해 값이 싸면서도 단백질이 공부한 산성 식품이다. 가금류 가운데 닭은 육용으로 가장 많이 애용되고

    중앙일보

    1972.01.12 00:00

  • 복지예산

    22일 보사부에 의하면, 71년도부터 시행예정이던 의료보험제의 확대가 전면적인 예산삭감으로 당분간 무망하게 되었다 한다. 현재의 의료보험법은 5백명 이상을 고용한 사업주는 피고용자

    중앙일보

    1970.09.23 00:00

  • 비소 섞인 식용「소다」

    18일 전북도 위생 시험소의 발표에 의하면 7명의 희생자를 낸 임실과 진안의 괴질은 「소다」에 섞인 비소의 집단 중독으로 밝혀졌다. 이 비소는 식용으로 판매 된 「소다」속에 섞여

    중앙일보

    1970.02.19 00:00

  • 대증요법식의 경제정책 운영

    작금의 물자수급·물가 및 재정안정계획 등은 왜곡될 대로 왜곡되어 이제는 대증요법적인 응급조치로써는 수습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른 감이 없지 않다. 보도된 바에 따르면 정부보유미는 이

    중앙일보

    1966.09.17 00:00

  • 번영·안일한 국민생활에 쇼크요법|「파운드」방위의 향방

    「수출이냐 죽음이냐」의 기로에 선 영국의 「당게르크」의 기억을 되새기며 전후최악의 경제적 위기에 대해 취한 일련의 강력한 「파운드」 방위정책은 국내외에서 근 파문을 불러일으키면서

    중앙일보

    1966.07.26 00:00

  • 「유행성 출혈열」치료성공

    【원주】제1군 예하 제3야전병원은 계절적으로 휴전선근방에서 발병, 14%의 사망률을 내는 「유행성 출혈열」병의 병원체와 치료방법을 발견해냄으로써 의학계에 큰 개가를 올렸다. 제3야

    중앙일보

    1965.11.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