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코노미스트] 조원경의 알고 싶은 것들의 결말(24) 애플카와 자율주행차의 미래

    [이코노미스트] 조원경의 알고 싶은 것들의 결말(24) 애플카와 자율주행차의 미래

    현대차, 애플과 협업으로 브랜드 가치 높이고 자율주행차 시장 점유율 확보 가능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모습. / 사진:현대차그룹   우리나라는 연간 800만대

    중앙일보

    2021.02.13 15:30

  • [이영종의 평양 오디세이] “단백질 연구 국제경연서 1위”…편식 심한 북 이공계의 명암

    [이영종의 평양 오디세이] “단백질 연구 국제경연서 1위”…편식 심한 북 이공계의 명암

     ━  김정은 체제 과학기술 수준   노동신문 1면은 북한 체제의 내부를 들여다보는 창 역할을 한다. 김정은 동정이나 발언을 담은 기사는 머릿기사에 오르고, 북측 표현대로 ‘옹근

    중앙일보

    2019.02.22 00:04

  • [이규연의 시시각각] 미래애인추적기의 씁쓸함

    [이규연의 시시각각] 미래애인추적기의 씁쓸함

    이규연논설위원 이번 주 사이버 세상에서는 보기 드문 현상이 일어났다. 개그콘서트에 잠깐 소개된 인터넷 사이트에 네티즌의 관심이 갑자기 몰린 것이다. 접속 폭주로 사이트는 사흘간 다

    중앙일보

    2013.07.12 00:23

  • KAIST, 내년에 미래전략 대학원 과정 신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내년 신학기부터 미래학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미래전략대학원 석사과정’을 개설한다고 23일 밝혔다.  그동안 국내 주요 대학 정책대학원의 경우 공공정책

    중앙일보

    2012.10.24 01:00

  • [경제 view &] ‘네 가지’ 없는 기업은 망한다

    [경제 view &] ‘네 가지’ 없는 기업은 망한다

    김종갑한국지멘스 대표이사·회장 경기(景氣)는 천기(天機)라고도 한다. 미래 경제 상황의 호황·불황을 예측하기는 천지조화의 비밀을 알아내는 것처럼 어렵다는 것이다. 누리엘 루비니 미

    중앙일보

    2012.04.04 00:01

  • [김종수의 시시각각] 우린 아직 성장에 목마르다

    어떻게 지났는지도 모르게 한 해가 훌쩍 가버리고 마지막 한 달만 달랑 남았다. 그러나 그 한 달이 가고 나면 또 새해가 기다리고 있으니 가는 세월을 마냥 아쉬워할 일만은 아니다.

    중앙일보

    2009.11.26 01:14

  • 대한민국은 과연 인터넷 강국인가

    전국민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1,500만명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대한민국. 초고속 통신망의 급속한 대중화와 주부 인터넷교실로 대표되는 재교육의 활성화, 그리고 전국 어디서나 찾아볼

    중앙일보

    2000.08.04 16:27

  • [인터뷰]국내최초 미래학 DB 구축한 하인호 한국미래연구원장

    "미래학은 시뮬레이션과 추세분석등 과학적 예측방법을 통해 장래를 개척하며 선택하고, 또 창조해가도록 도와주는 신종학문입니다. " 국내 최초로 미래학 (Futurology) 의 데이

    중앙일보

    1997.10.26 00:00

  • 경제 예측의 과학성

    경제예측과 관련하여 이코노미스트들은 심심찮게 세인의 웃음거리가 되곤 한다. 1929년 10월 「이제 우리는 영구적인 번영의 시대를 맞았다」고 호언장담한 미국 예일대 경제학교수 어빙

    중앙일보

    1995.02.14 00:00

  • 미래「학」의 허구

    이른바 미래학자들은 2천년 대를 겨냥해서 끊임없이 핑크 색의 풍선을 날리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람이 미국 허드슨 연구소장 허먼·칸. 그는 이미 『21세기는 일본의 세기』라는 예측

    중앙일보

    1973.07.24 00:00

  • 한국 2000년대를 본다|과학기술처가 내놓은 30년 후의 청사진

    이제 꼭 30년만 있으면 새로운 세기가 시작되는 서기 2001년. 지구를 파멸로 이끌 제3차대전이 안 일어난다는 대전제와 미래는 창조해야한다는 소전제 아래 지금부터 30년 뒤를 내

    중앙일보

    1971.04.15 00:00

  • 전환점에선 기술혁신|발명에서 각종정보의 복합화로

    기업성장을 촉진하는 중핵적 존재로서 그 비리를 높이 평가받고 있는 기술혁신의 성격이 변화되어「인벤션」(발명)은 점차 정체되고 있으나「시스팀」화 및 정보화에 의한 기술혁신(이너베이션

    중앙일보

    1970.03.26 00:00

  • [미래의 꿈]을 실현하는 사고|패턴법

    [붐]을 이루고 있는 미래학에서는 미래예측방법의 하나로 [델피](Delfi)법을 원용해왔다. 그런데 최근 미국에서는 이렇게 [예측된 미래의 꿈]을 [어떻게 실현하느냐]와 관련해서

    중앙일보

    1970.02.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