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봉산·강령 탈춤 발표

    한국가면극 연구회는 7월 10·11 양일 간(하오 3시 30분과 7시 30분) 중앙국립극장에서 봉산탈춤과 강령탈춤을 발표 공연한다. 황해도 탈춤의 쌍벽을 이루는 이들 탈춤에는 무형

    중앙일보

    1971.06.28 00:00

  • 한영숙 무용발표회『법열곡』을 보고

    이번 한영숙씨 무용발표회 프로그램 제2부『법열곡』(승무접속곡)을 보면서 우리는 오래간만에 형언할 수 없는 감동에 휩싸였다. 그것은 궁중정재의 아정의 기계와도 다르고, 또 무무의 엑

    중앙일보

    1971.06.12 00:00

  • 인간문화재 한영숙 여사 무용발표회

    고전무용부문의 유일한 인간문화재인 한영숙씨의 무용발표회가 6일, 7일(하오3시30분·7시30분)국립극장에서 열린다. 지난 3월부터 무진 문화재 전수소를 차리고 후계자 양성에 힘써온

    중앙일보

    1971.06.03 00:00

  • 문화재관리국|남도잡가 무형문화재 지정

    문화재관리국은 남도잡가를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한 것을 비롯하여 경주 최식씨 고옥과 정읍 김동수씨댁 및 제주 진원국씨 댁을 중요 민속자료로 지정키로 했다고 남도잡가는 「화초사거리」

    중앙일보

    1971.05.25 00:00

  • TV

    현대 사회에 살고 있는 거의 모든 사람이 말로만 들었을 1920년대의 권번 (가무를 가르쳐서 기생을 양성하는 곳)이 세심한 고증을 거쳐 연속 「드라마」『동기』에서 재현된다. 한국

    중앙일보

    1971.05.20 00:00

  • 궁중 요리 연구원 개원

    궁중 요리를 정통적인 방법으로 일반에게 보급할「궁중음식 연구원」이 15일 문을 열었다. 요리연구가 황혜성 교수(한양대)가 동대문 종합시장 B동 4층에 마련한 이 연구원은 이조왕궁의

    중앙일보

    1971.05.17 00:00

  • 동래 야유 가면 전시

    동래야유 가면 천재동 창작가면 특별 전시회가 23일∼5월7일 「코스모스」백화점에서 열린다. 여기에는 동래야유(중요 무형문화재 제18호) 가면 31점, 양세주 창작가면 33점, 천재

    중앙일보

    1971.04.27 00:00

  • 경비에 묶인 민속해외진출

    지난해 광주에서 열린 한국고유민속 예술제에서 대통령상을 받고 무형문화재로 지정 받은 전주 농고농악대가 오는 8월 일본에서 열리는 세계 「보이·스카우트·잼버리」 공연을 앞두고 경비를

    중앙일보

    1971.04.23 00:00

  • (4)무형문화재 전수소낸 한영숙씨|"현대화보다 전승치중"

    「석전의 현대화도 중요하지만 사라져 가는 우리의 고전을 어떻게 하면 그 상태대로 보존하는가가 큰 문제예요.』고전무용부문의 유일한 인간문화재인 한영숙씨(51)는『내가 전수 받은 그대

    중앙일보

    1971.03.27 00:00

  • TV

    우리의 고유한 민족 얼을 되찾아 보는 TBC향연 이번 시간에는 중요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된 꼭두각시놀음을 소개한다. 우리 나라 유일한 민속 인형제인 이 꼭두각시놀음은 그 무대

    중앙일보

    1971.03.22 00:00

  • 승무 등 전수소 열어

    인간문화재 박귀희(23호·「가야금산조」)씨와 한영숙(27호·「승무」)씨가 17일부터 서울중구 충무로3가에 한영숙 승무, 박귀희 가야금병창 전수소를 열었다. 앞으로 박귀희씨와 한영숙

    중앙일보

    1971.03.20 00:00

  • 「쇼」화한 전통 연극 전승|계간 연극 평론의 특집 좌담서

    계간 「연극 평론」지 최근호는 우리 나라 고유한 전통 연극의 유지·계승 문제를 토의하는 특집에서 민속 예술 경연 대회가 「쇼」화 하는 경향을 지적하고, 또 국립극장이 국극 정립이란

    중앙일보

    1971.02.11 00:00

  • 사라지는 불교 음악 범패|동국대서 재창조 위한 토론

    불교 재단이 운영하는 동국대는 지난 29일 불교 음악 즉 범패의 보존과 재창조에 대한 토론의 자리를 처음으로 마련했다. 근래 비구승단의 장악으로 이 방면의 연구 활동을 전혀 보이지

    중앙일보

    1971.02.02 00:00

  • (61)-제자는 필자|제4화 명월관(21)-뿔뿔이 흩어져 생사조차 몰라 일부는 가정 이뤄 다복한 노후

    세월은 꿈을 싣고 굽이굽이 여울져 흘러갔다. 흘러간 명기들의 꽃다운 이야기는 돌이킬 수 없는 아쉬움 속에 명멸해가고 있지만 더러는 새 시대의 역군으로 일하고 있는 자손을 통해 결코

    중앙일보

    1971.01.21 00:00

  • 모두 12명으로 구성 향토문화재위원회

    서울시는 11일 서울시가 관리하고 있는 문화재를 보호하기위해 서울시 향토문화재위원회를 새로 구성키로 했다. 시는 향토문화재위원회를 유형문화재위원 4명, 무형문화재위원 4명, 천연기

    중앙일보

    1971.01.11 00:00

  • 문화재 14건 보호 지정

    문화재 위원회는 예인의「한 장군 놀이」등 무형 문화재 7건과「남이 흥 장군 유품」등 중요 민속자료 7건을 각기 지정·보호키로 결정했다. 14일 제2분과 위원회는 금년의 마지막 지정

    중앙일보

    1970.12.18 00:00

  • 박초월씨 판소리『수궁가』독창회

    인간 문화재 박초월씨(54)가 4일 하오4시 국립극장에서 판소리.『수궁가』독창회를 갖는다. 이번 독창회는 지금까지 구전으로만 이어져 오던 판소리가 최초로 악보에 의해 불러진다는 데

    중앙일보

    1970.11.04 00:00

  • 판소리『심청가』첫 공연

    최근에 지정된 가곡(무형 문화재 30) 판소리 「심청가」(무형 문화재 36호/「강영 탈춤」(무형 문화재34허)의 첫 발표공연이 8일하오 7시30분 국립극장에서 열린다. 이들 지정

    중앙일보

    1970.10.05 00:00

  • 대중오락에의 발돋움 민속예술

    금년 11회를 맞이하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는 전통예술을 발굴하고 계승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발표장소로서의 터전을 본궤도에 올려 굳히고 있다. 지난 10년간의 성과로 이 대회의 경연종

    중앙일보

    1970.09.23 00:00

  • 8순의 박상환옹 가면극 공연

    한국가면극 연구회는 금년 80세의 박상환옹을 위하여 24일 하오 7시 국립극장에서『양주별산대 놀이』의 특별공연을 갖는다. 무형문화재 2호 양 주산대의 기능보유자인 박씨는 양주 태생

    중앙일보

    1970.08.22 00:00

  • 무형 문화재 발표

    한국 가면극 연구회는 추계 무형문화재 발표를 24일 하오 7시 중앙국립극장에서 갖는다. 발표극은 박상환 옹의 「양주 별산대 놀이」, 유경성 고명달 신순봉 함춘길씨 등 인간문화재와

    중앙일보

    1970.08.18 00:00

  • 문화재 보호법

    그 동안 큰 관심을 모아오던 문화재 보호법 및 영화법의 개정안이 지난 1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개인이 소장한 지정 문화재의 국가관리, 지방 문화재의 지정, 골동품 업자의 등

    중앙일보

    1970.07.21 00:00

  • 선의의 모작 문화재 복제|첫 전시회 출품작 채점

    국보·보물등 귀중한 유형문화재의 복제품이 일부 제작돼 첫선을 보이고 있다. 18일부터 7월17일까지 1개월간 창덕궁회랑에 전시, 일반에 공개하고 있는 이들 문화재 복제품은 문화재관

    중앙일보

    1970.06.24 00:00

  • 전국의 특산물을 한곳에 팔도강산 물산민속전

    신세계백화점에서는 20일∼30일 전국의 특산물을 모아 팔도강산 물산민속전을 열고있다. 각층마다 나누어 각도의 명물을 판매하고 있는 이 이색전에서는 특히 각도의 관광사진전시와 민속놀

    중앙일보

    1970.06.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