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우크라 공격에 러 흑해함대 사령관 사망…580일차 항전 계속된다 [타임라인]

    우크라 공격에 러 흑해함대 사령관 사망…580일차 항전 계속된다 [타임라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키이우 시간, 한국시간-6시간)   ※2022년 2월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일차부터 매일 업데이트 중입니다.   ▶9월 26일 침공 58

    중앙일보

    2023.02.01 08:50

  • "대만 TSMC 폭파하라…중국엔 고통의 지렛대" 美교수의 도발 [김필규의 아하, 아메리카]

    "대만 TSMC 폭파하라…중국엔 고통의 지렛대" 美교수의 도발 [김필규의 아하, 아메리카]

    김필규 워싱턴특파원 올 한해 미·중 관계에 있어 가장 화제가 됐던 논문 중 하나가 '부서진 둥지: 중국의 대만 침공 억지'다.  미 육군대학 계간지 '패러미터스(Parameter

    중앙일보

    2022.12.19 00:34

  • [박보균의 현장 속으로] ‘전설의 스파이’ 조르게가 소련 구했다…역사 진로 바꾼 정보의 파괴력

    [박보균의 현장 속으로] ‘전설의 스파이’ 조르게가 소련 구했다…역사 진로 바꾼 정보의 파괴력

     ━  리더십의 결정적 순간들 - ‘스탈린의 007’은 어떻게 세상을 뒤집었나   암호명 람자이. 모스크바에 있는 ‘역사상 최고의 스파이’ 조르게의 조각상, 음지의 장벽에서 벗어

    중앙선데이

    2020.07.18 00:02

  • 무라카미 하루키가 추적한 불편한 진실…‘노몬한’을 찾아서

    무라카미 하루키가 추적한 불편한 진실…‘노몬한’을 찾아서

     ━  [박보균의 현장 속으로…리더십의 결정적 순간들] 노몬한 전투 80주년, 일본은 왜 소련에 패배했나   중국의 내몽골자치구 초원에 위치한 ‘노몬한 박물관’의 야외 벌판에 전

    중앙선데이

    2019.05.25 00:02

  • [월간중앙 특별 인터뷰] “예술에는 좌(左)도 우(右)도 없다”

    [월간중앙 특별 인터뷰] “예술에는 좌(左)도 우(右)도 없다”

    ■ 1967년 ‘동백림 사건’ 연루된 佛 유학 건축학도, 北에서 고려청자에 눈떠 ■ “고려청자의 독창성·분청사기의 자율성에 민족적 자신감 깃들어” ■ “북한의 허물만 들추면 서로

    중앙일보

    2019.01.24 15:00

  • “공산당 타도” 외친 국민당, 레닌 스타일 따라 당 건설

    “공산당 타도” 외친 국민당, 레닌 스타일 따라 당 건설

    소련에서 귀국한 장제스(왼쪽 둘째)는 쑨원(왼쪽 셋째)과 한 차례 기싸움을 치른 후 황푸군관학교 교장에 취임했다. 1924년 6월 16일 황푸군관학교 입학식. [사진 김명호] 1

    중앙선데이

    2014.10.19 03:11

  • 스탈린 때 수백만 아사 … 러시아계 집단이주로 채워

    스탈린 때 수백만 아사 … 러시아계 집단이주로 채워

    우크라이나 역사에서 외세가 개입되지 않은 시기를 찾아보긴 힘들다. 러시아 등 주변 강대국들은 우크라이나를 놓고 파워게임을 멈추지 않았다. 한반도의 2.7배에 달하는 국토의 절반

    중앙일보

    2014.03.03 00:55

  • 관동군, 몽골 넘보다 ‘노몬한 사건’으로 소련에 혼쭐

    관동군, 몽골 넘보다 ‘노몬한 사건’으로 소련에 혼쭐

    노몬한의 소련군 탱크부대. 노몬한 전투는 과대포장 되었던 일본군의 진짜 실력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사진가 권태균] 일본이 국민정부 수도인 남경(南京)만 함락하면 전 중국을 지배

    중앙선데이

    2013.02.02 21:24

  • [뉴스 클립] 중국 도시 이야기 (5) 창춘, 만주국의 수도에서 자동차·영화의 메카로

    [뉴스 클립] 중국 도시 이야기 (5) 창춘, 만주국의 수도에서 자동차·영화의 메카로

    지난해 8월 방중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회담한 도시는 지린(吉林)성의 성도(省都) 창춘(長春)이었다. 200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

    중앙일보

    2011.03.09 00:06

  • [1948]

    1948. 1. 09 김두봉, 조선어철자법 개정초안에 대해 보고 1948. 1. 10 조소문화협회, 제 2차 전체회의 개최(-11일) 1948. 1. 11 김일성 위원장, 인민군

    중앙일보

    2005.08.09 10:43

  • [45-50]

    1945년 8. 8 : 소련, 대일참전하여 만주와 북한(경흥) 방면으로 진공개시. 8.10 : 소련군, 웅기 점령. 8.12 : 소련군, 나진, 청진 점령. 8.20 : 소련군(제

    중앙일보

    2004.10.25 11:20

  • 외국 주둔군이 우리에게 남긴 것

    이 책을 받아보고 어쩔 수 없이 기자는 10년여 전 군생활을 떠올렸다. '카투사' 로 근무하며 기자는 적지않은 정체성 혼란을 겪었다. '주한 미군에 배속된 한국 군인' 이라는 신분

    중앙일보

    2001.06.23 08:40

  • [신간 리뷰] '한반도의 외국주둔사'

    이 책을 받아보고 어쩔 수 없이 기자는 10년여 전 군생활을 떠올렸다. '카투사' 로 근무하며 기자는 적지않은 정체성 혼란을 겪었다. '주한 미군에 배속된 한국 군인' 이라는 신분

    중앙일보

    2001.06.23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42)

    42. 일본의 세균전 실상 필자가 조사해 본 바로는 일본군의 세균전 부대는 731부대 뿐만이 아니었다. 1938년 창설된 북경의 1855부대, 39년 남경 1644부대, 39년 광

    중앙일보

    2000.12.08 00:00

  • 몽골에 '탈북자수용소' 추진

    [LA지사〓장연화 기자] 미주 한인 선교사들과 탈북자 지원단체가 주축이 돼 중국 옌볜(延邊)인근에 은신하고 있는 북한 난민들을 몽골로 이주시키려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엑소더스

    중앙일보

    2000.02.25 00:00

  • 몽고주둔 구소군 6만명 완전 철수

    【모스크바 이타르­타스=연합】 러시아는 몽고주둔 구소련군을 완전 철수했다고 몽고통신 몬트사메가 지난해 12월30일 보도했다. 이 통신은 몽고에 주둔해온 구소군 마지막 부대가 철수했

    중앙일보

    1993.01.01 00:00

  • 몽고주둔 구소군/9월내 완전철수

    【동경=연합】 방일중인 몽고의 비얌바스렌총리는 29일 『몽고에 주둔하고 있는 구소련군은 오는 9월말까지 완전 철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얌바스렌총리는 이날 일본의 아사히(조

    중앙일보

    1992.05.31 00:00

  • 다당제 도입·사기업허용 등 민주화 박차|아시아

    중소 양국과 등거리 외교를 통해「국익극대화」를 추구했던 북한은 소련의 정책변화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소련의 대 북한 군사원조 및 경제원조가 현저하게 감소하자 김일성이 지난

    중앙일보

    1990.12.24 00:00

  • 소 한반도 비핵지대화 추진/메드베데프/아­태지역 주둔군도 철수

    ◎몽골 주둔병력 92년 완전 철수 소련은 아시아­태평양지역의 평화·안정은 군사적 대립의 본질적 해소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판단 아래 한반도의 비핵지대화는 물론 아태지역 소련군의 철수

    중앙일보

    1990.11.22 00:00

  • 소 해외주둔군 2000년까지 전면철수

    【유엔·브뤼셀AP·AFP=연합】소련은 15일 해외주둔 소련군병력이 62만7천5백명이라고 처음으로 공개하고 이 병력을 오는 2000년까지 완전 철수시킬 방침이라고 밝혔다. 블라디미르

    중앙일보

    1989.12.16 00:00

  • 남북한 군사력 북한이 다소 우위|하디스티 미 태평양 사령관 회견

    -동북아시아에서의 미소군사 균형에 대한 평가는. 『태평양에서 소련의 핵심전력은 공군력과 대평양 함대로 후자는 소련의 4개 함대 중 최대규모다. 소련의 해군규모가 외형상 감축됐다고

    중앙일보

    1989.09.20 00:00

  • 기장완화·선전용 등"다중포석"

    「고르바초프」소련공산당서기장의 소극동군 20만명 감축선언은 대중긴장완화 등 일석다조의 목적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르바초프」가 대중국경지역 병력 12만명 감축과 아울러 아시아지역

    중앙일보

    1989.05.18 00:00

  • 몽고 주둔 소군 2차 철수

    【모스크바 AP·AFP=연합】몽고 주둔 소련군의 2단계 철수의 일환으로 탱크·미사일 및 대공 미사일 포대를 실은 열차가 15일 몽고를 출발했다고 소련관영타스통신이 보도했다.

    중앙일보

    1989.05.16 00:00

  • 중소 화해에 거는 기대

    30년만에 배경에서 열린 중소지도자들간의 회담은 아시아 대륙에 새 시대를 여는 상징성으로서의 의미가 크다. 오랜 분쟁과 부신 끝에 열린 첫 회담에서 어떤 극적인 귀가 나올 것 같기

    중앙일보

    1989.05.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