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버려서 더 채워지는 마음 그리고 집

    버려서 더 채워지는 마음 그리고 집

    이타미 준(70·伊丹潤) 일본 도쿄에서 태어난 재일동포 건축가. 한국 이름은 유동룡(庾東龍)이다. 1964년 무사시공업대학 건축학과를 나와 한국의 전통미와 자연을 담은 집을 지었다

    중앙선데이

    2007.06.23 18:30

  • 李箱의 창작 산실 집터 기념관으로 부활 첫 삽

    李箱의 창작 산실 집터 기념관으로 부활 첫 삽

    이상(李箱ㆍ1910~37)이 쓴 시 ‘오감도(烏瞰圖)’는 수십 년이 흐른 지금 읽어도 참 난감이다. “13의아해(兒孩)가도로(道路)로질주(疾走)하오./ (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適當

    중앙선데이

    2007.04.28 15:32

  • 건축가 김수근 20주기 특별전 '지금 여기'

    건축가 김수근 20주기 특별전 '지금 여기'

    김수근 건축이 지닌 인간적 스케일, 멋, 모태 공간, 인간과 자연의 조화 등을 모두 갖춘 ‘공간(空間)’ 사옥. 소극장 ‘공간사랑’과 잡지 ‘공간’, 설계사무소가 함께 돌아가던 고

    중앙일보

    2006.06.04 20:19

  • [미술계쪽지] '퓨즈 원더(Future is Wonderful)' 外

    ◆ 건축가 조택연(45.경기대 건축전문대학원 교수)씨가 21세기 건축 공간의 구조 변환을 살핀 '퓨즈 원더(Future is Wonderful)'를 간향미디어랩에서 펴냈다. 조 교

    중앙일보

    2006.04.16 21:21

  • [week& 기획] 예쁜 건물 열린 공간…서울이 웃는다

    [week& 기획] 예쁜 건물 열린 공간…서울이 웃는다

    1000만 명 일상의 터전, 서울은 아직 흠이 많은 도시다. 그러나 애정을 가지고 들여다보면 아름답고 정겨운 삶의 공동체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한국건축가협회가 서울시와 함께

    중앙일보

    2005.11.03 15:31

  • 조성룡 도시건축대표, 후배들이 회갑기념으로 책 펴내 선물

    조성룡(趙成龍.60) '도시건축' 대표가 회갑을 맞아 후배 건축가들에게서 '건축 사이로 넘나들다'라는 책을 선물받았다. 이 책에는 '조성룡의 60살을 기리며 23명의 젊은 친구들이

    중앙일보

    2004.05.27 08:41

  • [김서령의 家] 서울 서오릉 윤영주씨 집

    [김서령의 家] 서울 서오릉 윤영주씨 집

    무엇을 짓느냐가 아니라 어디에 짓느냐가 문제, 라고 말한 사람은 건축가 김수근이다. 집의 구조나 크기보다 더 중요한 것이 그것이 놓일 환경이라는 말일 게다. 서울 광화문 이탈리아

    중앙일보

    2004.02.12 15:54

  • 한국 가톨릭문화 정리한다

    서울 낙산 기슭에 있는 혜화동 성당은 건축사적 비중이 크다. 43년 전 건물이 완공됐을 때 많은 사람은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형태가 기존의 뽀족한 첨탑 성당과 달랐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2003.07.04 17:38

  • 그림처럼 아름다운 건축 이야기

    사람들은 건축가 김수근을 "젊은 건축가들을 보호한 한국의 로렌조"라고 불렀다. 르네상스의 예술부흥을 가져온 메디치 가문의 가장 로렌조에 비유됐던 김수근은 55세로 남보다 짧은 삶

    중앙일보

    2002.06.19 00:00

  • 월간 건축잡지 'SPACE' 통권 400호 발간

    국내 최장수 건축잡지인 월간 'SPACE' (스페이스ㆍ발행인 이상림 공간사 대표)가 3월호로 통권 400호를 맞았다. 1966년 11월 건축가 김수근(1931~1986)씨가 '空間

    중앙일보

    2001.03.01 00:00

  • [인물동정]유걸 유걸건축연구소장

    김수근 건축상 수상자로 선정 ◇ 兪 杰유걸건축연구소장이 제9회 김수근 건축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김수근 건축상은 지난해 발표된 건축 가운데 뛰어난 작품을 설계한 건축가를 시상하는

    중앙일보

    1998.06.13 00:00

  • [민현식의 시공짚기]서구식 '광장'을 넘어서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 지방에는 특징있고 아름다운 도시들이 많다. 1천년의 세월을 차곡차곡 쌓아온 이 도시들을 여행하노라면 마치 이탈로 칼비노의 소설 '보이지 않는 도시들' 이 현

    중앙일보

    1998.05.19 00:00

  • 크리티악상이란…대중건축잡지 구독자가 우편투표

    ◇ 건축.건축인들의 상 (賞).상.상 = 한국건축문화대상 (대한건축사협회.건설교통부 공동) , 한국건축가협회상, 각 시.도 (市.道) 단위건축상, 김수근건축상…. 대한건축학회에서

    중앙일보

    1998.03.09 00:00

  • [민현식의 시공짚기]아파트를 넘어서

    70년대초 AID차관에 의해 강남의 반포 등지에 세워진 본격적 '아파트먼트 하우스 (Apartment House)' 이후 지난 30여년 급속히 개방되어온 고층 집합주택은 '아파트'

    중앙일보

    1998.02.17 00:00

  • 귀머리에게 고함

    오늘부터 문화칼럼'승효상의 시공짚기'를 신설합니다.한달에 1~2회 선보일 이 칼럼은 중견 건축가 승효상(承孝相.45)씨가 다양한 문화.사회현상을 건축가의 시각으로 잡아 문제를 제기

    중앙일보

    1997.06.03 00:00

  • 김수근문화상 수상자 선정

    ◇재단법인 金壽根문화재단(이사장 李慶成)은 28일 제7회 「김수근문화상」수상자로 ▶건축상 金瑛燮(건축문화설계연구소 대표)▶미술상 吳受桓(서울여대 교수)▶공연예술상 李建鏞(음악부문.

    중앙일보

    1996.05.29 00:00

  • 김수근

    좀체로 융합되기 힘들다는 예술과 기업을 조화시킨 「주식회사 공간」을 이끌고있는 건축가 김수근씨(53) . 70년대중반 국내 건축계에서 맹활약을 벌이던 그를 가리켜 타임지는 「한국의

    중앙일보

    1984.02.28 00:00

  • 20∼25일 미술회관

    한국건축가협회(회장 한정섭)가 제정한 제1회 한국건축가협회상의 수상작 7점이 선정돼 20∼25일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전시된다. 78년에 완성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이 협회상의

    중앙일보

    1979.10.20 00:00

  • 「인간·환경」세미나 8일 서울대 주최로

    『인간과 환경』에 관한 「세미나」가 8일 상오10시 서울 수유리 「아카데미·하우스」에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과 도시 및 지역계획연구소 주최로 열린다. 이 자리에서 발표될 연제와 연

    중앙일보

    1974.03.07 00:00

  • 시정 평가단·자문 위원 백49명 위촉

    양탁식 서울 시장은 27일 시행정의 평가와 자문을 맡을 「시정 평가단」과 「수도 행정 자문 위원회」를 구성, 평가 단원 30명과 자문 위원 1백19명을 위촉했다. 시정 평가단은 대

    중앙일보

    1970.05.27 00:00

  • 건축양식으로 시비된 부여 박물관

    부여박물관의 건축양식이 일본의 신사와 비슷하다는 주장이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총 공사비 4천5백만원의 동 박물관은 65년 6월에 착공, 66년 말까지 1천5백만원을 들여 건물의

    중앙일보

    1967.09.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