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아이랑GO] 동물의 세계부터 한자어의 유래까지, 책으로 묻고 답하고

    [아이랑GO] 동물의 세계부터 한자어의 유래까지, 책으로 묻고 답하고

    책과 함께 크는 아이를 바라신다고요? 근데 어떤 책이 좋은지 모르겠다면, 아이랑GO가 준비한 책 이야기를 보시는 건 어떨까요. 아이랑GO가 일주일에 한 번, 마법처럼 아이들이 푹

    중앙일보

    2024.01.19 06:00

  • 국립국어원, 초등학생을 위한 통신언어 교육 자료 만화책으로 펴내다!

    국립국어원, 초등학생을 위한 통신언어 교육 자료 만화책으로 펴내다!

    인터넷을 시작하는 초등학교 어린이가 통신언어 예절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도록 제작한 만화 형태의 교육 자료가 나왔다. IT강국으로 세계에 이름을 떨치고 있는 한국이지만 인터넷에서

    온라인 중앙일보

    2009.10.06 18:48

  • [교육신간] 다산천자문 2·3 外

    [교육신간] 다산천자문 2·3 外

    다산천자문 2·3 이덕일·웅진주니어·각 권 9800원 다산 정약용이 만든 천자문을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구성한 한자 학습 교양서다. 『아학편』 2000여 자 중 750여 자를

    중앙일보

    2008.12.16 16:07

  • [키즈] 까치와 엄지 따라가 본 우리 역사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1,2 이현세 만화, 김미영 글, 녹색지팡이, 각권 250쪽 내외, 각권 9500원 이른바 ‘학습 만화’의 전성시대다. 『만화로 보는 그리스·로마 신화』『마법

    중앙일보

    2004.12.04 09:00

  • [한국인의 역사 실력은] 上. 통일신라때 '삼국사기'를 펴냈다 ?

    [한국인의 역사 실력은] 上. 통일신라때 '삼국사기'를 펴냈다 ?

    ▶ 24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을 찾은 초등학생들이 광개토대왕비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김태성 기자 우리는 한국사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역사 교육에는 문제가 없을까. 중국의 '고

    중앙일보

    2004.08.24 18:32

  • '직승기'타고 '곱등어'보러 가자?

    평양에서 쓰고 그린 그림을 서울에서 출판한 최초의 남북 합작 그림동화 시리즈가 나왔다. 북한의 인기 만화영화를 토대로 한 과학동화 『령리한 너구리』가 최근 정식 계약을 통해 국내

    중앙일보

    2002.05.30 00:00

  • '책읽는 서울'지하철이 앞장

    서울과 도쿄(東京)의 지하철은 승객들이 책을 보느냐, 안 보느냐로 구분할 수 있다고 했던가. 하지만 이제는 옛말이 될 것 같다. 지하철이 우리나라 독서 문화의 새로운 메카로 자리

    중앙일보

    2002.04.03 00:00

  • [문화 타임캡슐 1000년 1900~1999]

    *** 미술 20세기 한국 미술사에서 가장 대중적인 화가 중 한 사람인 이중섭(1916~56)은 가난.광기.요절 등 '천재 신화' 를 이루는 요소를 고루 갖춘 화가다. 그의 트레이

    중앙일보

    1999.12.31 00:00

  • [책광장]'몸, 그 생명의 신비' 外

    [어린이] ◇ 몸, 그 생명의 신비 (최달수 글, 그림.사계절.1만3천원) =인체 각 기관의 역할과 기능을 그림을 통해 전달하는 만화책. ◇ 나처럼 해봐요 요렇게! (밝남희 구성.

    중앙일보

    1999.04.15 00:00

  • 골머리 수학 딱딱한 물리 신비의 우주 재미있게 풀어쓴 책 인기

    골치 아픈 수학, 딱딱한 물리, 어지러운 경제수치. 합리적 사고(수학), 과학적 인식(물리), 공리적 생활(경제)을 가꾸는데 기초가 되는 지식들이지만 삭막한 기호·공식의 행진에 질

    중앙일보

    1989.09.06 00:00

  • 한잔의 코피도 조심하라 |내무공무원에 이색만화 배포

    『한 잔의 코피로부터』내무부는 최근 한잔의 코피로 시작, 인생을 파멸로 이끈 한 공무원의 오직 과정을 그린 만화책을 지방시·도에 배포해 주목을 끌고 있다. 「오직의 비극에서 인생을

    중앙일보

    1989.07.19 00:00

  • (6)이원복(대학교수 만화가)

    『만화는 뛰어난 표현력을 지닌 영상·매체입니다. 작가의 무한한 상상력을 가시화할 수 있는 어쩌면 유일한 매체지요. 먼 우주·해저·땅속 끝까지 카메라는 못 가도 만화는 갑니다.』 지

    중앙일보

    1989.01.17 00:00

  • 주체의식 정립에의 발돋움|역저를 통해 본 '71년의 「한국학」

    71년의 한국학계는 주체의식의 정립을 학문의 토대 위에서 찾으려는 움직임과 학문연구의 수준을 세계적인 것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던 것 같다. 「한국학」연구를 세계

    중앙일보

    1971.12.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