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선로 현장서 확인한 한·일교류

    한·일 양국간의 고대문학교류의 경로를 알아보기 의한 삼한해로답사는 원시적인 방법의 항해, 즉 인력만으로 2천 여리와 바닷길을 항해할 수 있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 외에 양국문화교

    중앙일보

    1975.08.08 00:00

  • 한·일 해로답사 끝내

    【후꾸오까=이각윤특파원】한·일고대문화 교류의 발자취를 더듬어보는 삼한해로 답사선인 한호(일본해역에서는 왜호로 명명)는 5일 상오9시45분 최종 목적지인 「후꾸오까」 (복강)항에 도

    중앙일보

    1975.08.05 00:00

  • (상) 옛 항로 계절풍 이용 확인|중간보고-방동인

    삼한 해로 답사반의 한호 목선은 현재 종착지인 구주의 복강에 접근해 가고 있다. 이 글은 지난6월20일 인천을 출발, 7월17일 부산에 도착하기까지 한국 해역 답사를 마친 중간보고

    중앙일보

    1975.08.04 00:00

  • 한호, 일기도 승본항 도착.

    【가쓰모도=이은윤 특파원】우리 나라 삼한시대와 고대일본 사마태국과의 문화교류 경로를 답사중인 삼한해로 답사선인 한호는 5일 동안의 대마도 답사를 끝내고 29일 하오3시 일기도북단의

    중앙일보

    1975.07.30 00:00

  • 고대항해를 재현하면서…「삼한해로 답사」 선상 좌담회

    ▲사회=삼한해로 답사는 이제 서해항로 답사를 모두 끝냈으나 지금까지는 항해에 있어서나 유적 답사에 있어서 하나의 시험적인 구간이었읍니다. ▲김=인천에서 군산까지는 당초 계획대로 별

    중앙일보

    1975.07.11 00:00

  • (416)한-일 문화교류의 원류를 찾는다|조상의 뱃길 따라 만리 여정…삼한해로 답사선『한』호

    여기는 서해. 잔주름 같은 해류를 따라「한자」를 선명히, 십자형「마스트」에 단 목선이 남으로 남으로 미끄러져 나간다. 배에는 옛 우리 조상이 입은 그대로 흰 베옷을 입고 밀짚모자를

    중앙일보

    1975.06.27 00:00

  • 「한호」순탄한 항해

    【한호(야성호)선상=이양특파원】삼한해로 학술답사를 위해 장도에 오른 고대목선 한호는 출항 4시간만인 20일 하오6시 제1기항지인 경기도 옹진군 영전도에 도착, 첫 밤을 보내고 21

    중앙일보

    1975.06.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