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해외 논단] 주한미군 철군은 美 큰 실수

    래리 워츨 헤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소장은 한국.중국.싱가포르 등에서 군장교로 근무한 뒤 미 육군성에서 동북아 전략수립 책임자를 역임한 동북아 군사문제 전문가다. 워츨 박사가 최근의

    중앙일보

    2003.02.28 18:09

  • [해외 논단] 일본이 제2의 한국 역할해야

    냉전의 최전선이었던 한국에서도 얼음은 녹아내리고 있다. 한국은 이제 미국보다 중국을 더 믿을 만한 후견자로 생각하는 듯하다. 따라서 미국은 50년 전 한국전쟁 직후 수립했던 동아시

    중앙일보

    2003.02.21 18:52

  • [해외 논단] 폭탄만이 만능 아니다

    영국의 조지 캐리 전 캔터베리 대주교는 최근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에게 "왜 미국은 '하드파워'에만 의존하고 '소프트파워'를 도외시하는가"라고 물었다고 한다. 하드파워가 군사적

    중앙일보

    2003.02.14 17:56

  • [해외 칼럼] 한국경제 누가 발목잡나

    몇년 전 필자는 한국의 재정경제부 장관에게 경제 정책을 수립할 때 북한의 행동을 고려하느냐고 물은 적이 있다. 장관은 "아니요. 북쪽 친구들은 미쳤습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아무런

    중앙일보

    2003.02.09 18:02

  • [해외 논단] 미국 新보수주의의 흐름

    요즘 미국과 유럽을 갈라놓는 갈등의 바닥엔 '9.11 테러 이후 국제사회의 주도권을 누가 갖고 있느냐'는 신경전이 가로놓여 있다. 둘이 종종 충돌하긴 해도 분명한 사실은 미국이 모

    중앙일보

    2003.02.07 18:26

  • [해외 논단] 지금은 북한의 주장을 들어야 할때

    북한 정권은 전체주의적인 데다 대화방식도 매우 서투르다. 이 때문에 북한은 비이성적이고, 예측 불가능하며, 따라서 진지한 협상이나 장기적인 약속을 할 수 없는 대상이라는 인상을 심

    중앙일보

    2003.01.24 18:11

  • [해외 논단] 북핵 해법 당근만으론 안된다

    한국을 방문한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일본 외상은 노무현(盧武鉉)대통령당선자와 최성홍(崔成泓)외교통상부 장관을 만나 북한 핵 위기를 외교적으로 해결한다는 양국의 방침을 확인했다

    중앙일보

    2003.01.17 20:06

  • [해외 논단] 제한적인 중국의 대북 영향력

    한국과 미국은 중국이 북한 핵 문제를 적극 중재해주기를 원하고 있지만 중국이 북한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은 제한돼 있다. 덩샤오핑(鄧小平)이 1979년 시장경제 개혁을 시작하면서

    중앙일보

    2003.01.10 18:38

  • [해외 논단] 세 개의 접시 돌리는 미국

    일부 정치인들은 이라크 공격이 테러와의 전쟁에 방해가 된다며 반대하고 있다. 여기에 북한의 핵 위협이 이라크의 위협보다 더 긴박한 만큼 북한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도 추

    중앙일보

    2003.01.03 18:36

  • [중앙일보에 바란다] 독자위원들이 본 '제2창사' 1년

    독자 제일주의를 실천해온 중앙일보는 1999년 3월 ‘제2 창사’를 하면서 국내 신문 최초로 독자위원회를 구성했다.사회 각계에서 일하는 6명의 독자위원이 매달 모여 본지 보도 내용

    중앙일보

    2000.03.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