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역사교육은 사실에 기반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젊은 세대에 대한 역사 교육은 객관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과거를 가르치는 일이어야 한다. 그 역사가 영광스럽든, 오욕에 찬 것이든 과거를 있는 그대로 제대로 알게 해야 한다. 그래야 젊은 세대가 과거에서 교훈을 얻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등 주변국의 역사 왜곡이 우리를 끊임없이 불쾌하게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이들의 주장이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고 있지 않다는 데 있다. 주변국의 역사 왜곡에 대한 우리의 대응 역시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지 않는다면 그들로부터 똑같은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런 의미에서 경기도교육청이 제작한 ‘동북아 평화를 꿈꾸며’라는 자료집은 학교 수업의 보조 교재로 활용되기엔 부적절하다. 동북아역사재단이 검토한 이 자료집에서는 오탈자(誤脫字)만 10여 곳이 나왔고, 사실 오류도 여러 군데 발견됐다고 한다. 게다가 이 자료집은 단군신화를 역사적 사실로 서술했는데 이는 국내 고대 사학계의 일치된 의견이 아니며, 간도를 우리 땅으로 기술한 대목도 중국과의 외교 문제로 비화될 소지가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 자료집이 정식 교과서는 아니라고 해명했다. 주변국들의 역사 왜곡에 맞서 학생들에게 올바른 역사관을 심어줄 목적으로 제작된 수업 참고 자료집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과거사를 놓고 한·중·일 3국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시점임을 고려해야 한다. 동북공정의 왜곡을 문제 삼는 우리가 오히려 이 자료집으로 역공을 당할 우려가 있다는 외교부 당국자의 지적도 일리가 있다. 도교육청은 이러한 의견을 받아들여 자료집에 나타난 역사 기술의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 이를 위해 공신력 있는 역사 연구기관의 감수를 거치는 것도 필요하다. 그런 과정을 거친 뒤 수업에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우리의 역사 교육은 역사적 사실과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균형 있게 가르치는 것이어야 한다. 학계에서도 논란이 있는 일부 의견만을 편향되게 가르쳐서는 곤란하다. 그래야 우리가 주변국의 역사 왜곡 행위에 당당히 대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