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쓰파라치 내년에 부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전북 전주시가 쓰레기 불법투기 신고자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내년부터 다시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쓰레기 무단 투기를 막기 위해 주민신고 포상금제를 중단 2년 만에 부활하기로 한 것이다.

 전주시는 이 제도를 2006년부터 4년간 운영했었다.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쓰레기 종량제봉투를 사용하지 않거나 혼합배출, 불법소각한 경우 일반 쓰레기는 10만~20만원, 폐 자재는 50만~100만원의 과태료를 물렸다. 그리고 이를 사진·동영상으로 찍어 신고한 이른바 ‘쓰파라치’(쓰레기 파파라치)에게 과태료 금액의 80%를 포상금으로 지급했다.

2006년에는 693건을 적발하고 48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다. 2007년에는 2160만원, 2008년과 2009년에는 각각 1440만원이 쓰파라치에게 돌아갔다.

이 기간 쓰레기 무단 투기는 매년 20~30% 감소했다.

 하지만 돈을 노린 쓰파라치를 양산하고 공동체 의식을 해친다는 지적이 나오자 전주시는 포상금 확보의 어려움 등을 내세워 2010년 주민신고 포상금제를 폐지했었다.

 전주시가 쓰파라치 카드를 다시 꺼내 든 것은 최근 폐 자재 쓰레기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부신시가지의 원룸·다가구주택 건축현장 등에서 나온 폐 목재·골재·스티로폼 등이 으슥한 도로 변과 하천·야산에 마구 버려지고 있다.

 이형원 전주시 자원위생과장은 “아름답고 깨끗한 청결 1등 도시를 만드는 데 관의 통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언제·어디서나 상시 단속하는 체계를 만들고 시민들의 환경의식을 일깨우기 위해 주민신고 포상금제를 다시 운영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