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법 '왕우렁이'가 애물단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친환경농법의 상징인 왕우렁이가 생태계의 애물단지가 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환경부는 20일 왕우렁이가 확산될 경우 한해 1000여개의 알을 낳는 번식력과 왕성한 식성으로 벼를 갉아먹는 등 큰 피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토종 우렁이보다 큰 왕우렁이는 1983년 2월 식용으로 일본에서 도입된 뒤 비닐하우스 등에서 대량 양식이 이뤄졌다.

특히 92년 왕우렁이를 이용해 논의 잡초를 제거하는 친환경 농법이 소개되면서 왕우렁이 농법을 이용한 벼 재배면적은 2002년 60개 시.군 2894 농가 1937ha에 이르렀다.

하지만 잡초만 먹다가 벼 수확이 끝난 뒤 기온이 내려가면 모두 죽는 것으로 알려졌던 왕우렁이가 죽기 전에 알을 낳고, 이듬해 봄 알에서 깨어난 왕우렁이가 벼의 어린잎을 갉아먹어 피해를 주기 시작한 것. 2003년에는 전남 해남에서 왕우렁이로 인한 논의 피해가 처음 보고됐다. 환경부는 정밀 조사를 벌여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선 이미 많은 피해가 발생, 왕우렁이 양식을 금지하고 있다.

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