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주 영장 실질심사] 정치권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기업 투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민주당 田溶鶴대변인)

"언론자유를 파괴하는 권력의 시도에 끝까지 맞설 것이다. " (한나라당 權哲賢대변인)

여야는 16일 언론사주에 대한 검찰의 사전영장 청구를 놓고 상이한 반응을 보였다.

한나라당은 "법의 남용이며,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 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법과 원칙에 따른 것" 이라고 반박했다.

한나라당 김기배(金杞培)사무총장은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증거인멸과 도주의 우려가 없는 데도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것은 언론탄압의 목적이 있기 때문" 이라고 비판했다.

權대변인은 "법원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 는 논평을 냈다.

장광근(張光根)수석부대변인은 "엄청난 추징금은 주식매각으로 충당할 수밖에 없고, 결국 주식지분의 변화와 금융압박을 통해 '전 언론의 정권예속화' 가 강요될 것" 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사주 구속은 비판적 언론인의 제거와 편집권 침해로 이어질 것" 이라고 주장했다.

당의 언론자유수호비상대책위 박관용(朴寬用)위원장은 "17일 회의에서 비상한 당의 대책을 결정할 것" 이라고 예고했다.

그러나 민주당 田대변인은 "검찰이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해왔고, 그 결과를 토대로 법원이 판단할 문제이므로 당에서 왈가왈부할 게 아니다" 고 논평했다.

그는 "영장을 청구한 것은 언론기업 경영이 투명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인 만큼 기업 투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고 말했다.

한편 자민련 변웅전(邊雄田)대변인은 "언론사와 사주에게 부과된 세금추징은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돼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만, 언론 사주들이 그동안 국가와 언론창달에 공헌한 점을 고려해 사법처리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게 우리의 입장" 이라고 양비론(兩非論)을 폈다.

최상연.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