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장기 복제 합법화되나…영국정부 법적허용 심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인간복제' 의 시대가 성큼 다가오면서 윤리.종교적인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아직은 생명체가 되기 직전의 수정란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지만 '과학적 호기심' 은 이를 간단히 넘어 결국 인간이 인간을 만들면서 신의 영역에 도전한다는 것이다.

◇ 복제 공식허가 요청 = 영국 정부는 현재 이미 개발된 신체복제기술을 법적으로 허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두고 최종심사를 앞두고 있다.

영국의 인체유전학 자문위원회 (HGAC) 와 인간수정 및 발생학기구 (HFEA) 는 최근 정부에 낼 공동 보고서를 통해 인체 유전자 복제를 장기나 조직이식 연구에 한해 허용해야 한다는 건의를 발표했다.

이들 기관의 보고서는 영국 정부측이 복제양 돌리의 성공 이후 복제에 대한 법적.윤리적 측면에 대한 검토를 지난 1월 의뢰한데 대한 결과물. BBC방송 등 영국 언론들은 9일 보건부가 위원회의 보고서를 검토한 뒤 내년초 인체 유전자 복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부의 최종 방침을 결정지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전세계적으로 수정란을 이용한 복제는 연구나 활용에 관계없이 허용된 일이 없어 영국 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 논란 = 논란의 핵심은 과학의 무절제성과 윤리성이다.

과학의 무절제한 연구가 갖는 위험성을 경고한 '미래의 지혜' 저자 패트릭 딕슨 (영국) 박사는 8일 "일단 인간 수정란 복제가 허용되면 완전한 복제인간이 나오는 것은 간단한 일이다.

당신의 아버지가 당신의 형제가 될 수도 있는 것" 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신체복제에 대한 연구를 중지시키도록 전세계적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고 요구했다.

가톨릭 등 종교단체들도 "복제수정란도 똑같은 인간개체로서 존중받아야 한다.

인간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다 버려질 수는 없는 일" 이라고 신체복제에 대한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유네스코도 "인류를 보존하고 인종차별을 막기 위해 유전공학과 복제에 대한 세계윤리규약이 마련돼야 한다" 고 촉구했다.

그러나 HGAC 회장 콜린 캠벨경은 "우리는 인간 재생산을 위한 복제를 하는 것이 아니다.

국민의 80%와 의회가 이에 반대하고 있는 만큼 철저한 관리를 통해 인간복제는 일어날 수 없도록 할 것" 이라고 밝혔다.

신체복제기술을 개발한 과학자들은 장기가 필요한 환자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신체 일부를 복제하는 것은 허용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간존엄성의 유지와 질병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두 주제를 두고 영국 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