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현장]문화관광위-편파방송 시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방송위원회 (위원장 金昌悅)에 대한 문화관광위의 감사는 방송3사의 편파보도 문제와 정권의 '방송장악' 가능성이 뜨거운 이슈가 됐다.

총격요청 사건에 대한 방송보도가 수사기관의 비공식적 자료에 근거해 편파적으로 다뤄졌다는 한나라당의 공격이 거듭됐다.

문화부 감사때 신낙균 (申樂均) 장관을 일문일답식으로 유도해 애를 먹였던 이경재 (李敬在) 의원은 같은 방식으로 김창열 위원장을 몰아붙였다.

"검찰수사 발표와 그 전에 보도된 내용간에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지 않느냐" 는 질의에 金위원장은 "당초 보도가 혼란스러웠다고 생각한다" 고 답변. 이에 李의원은 기다렸다는 듯 "실체적 진실과 보도내용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는 말인가" 고 물어 "예" 라는 답변을 받아 냈다.

박성범 (朴成範).박종웅 (朴鍾雄) 의원은 이를 받아 "그렇다면 이에 대한 방송위의 공식견해를 밝히고 왜곡.편파보도한 방송사에 시정권고 등 제재조치를 취하라" 고 요구. 결국 金위원장은 "지난 한달간의 방송보도 내용과 검찰 중간발표를 비교한 분석보고서를 작성토록 해 방송위원들과 검토해 보겠다" 고 답변했다.

이렇게 되자 지난 93년 김영삼 대통령 취임과 함께 방송위원장에 임명된 金위원장에 대해 국민회의측의 불만이 폭발했다.

신기남 (辛基南) 의원은 96년 4.11총선 직전의 북풍보도와 지난 대선 당시 한국논단의 사상검증토론회 생방송, 오익제 관련 보도 등을 열거하며 "정치종속의 부끄러운 방송역사를 이제는 정상화해야 한다" 고 쏘아붙였다.

정치학교수 출신의 길승흠 (吉昇欽) 의원은 "김영삼 정권때는 청와대 정무수석 - 공보처 - 방송위원회로 이어지는 언론통제 메커니즘이 존재했고 KBS의 요직을 특정그룹이 독식했다" 며 "더 이상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통합방송법을 제정하려 한다" 고 목청을 높였다.

한편 정동채 (鄭東采) 의원은 "金위원장이 검찰의 최종 수사발표도 안 났는데 어떻게 실체적 진실을 운운할 수 있느냐" 고 다그쳐 "부주의한 답변이었다" 는 답을 끌어 내기도 했다.

김창열 위원장은 통합방송법이 통과돼 통합방송위원회가 신설되면 자리를 내놔야 하는 처지. 다른 피감 (被監) 기관의 장 (長) 들과 달리 金위원장은 여당의 보호를 받지 못했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