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가 '사정소나기'지나갔나…검찰 청구비리등 일단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청구.경성비리 사건 검찰수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한달여 동안 숨가쁘게 몰아치던 사정 (司正) 회오리가 다소 잠잠해질 전망이다.

이같은 분위기는 "검찰이 사정을 오래 끌지 않고 조만간 마무리할 것" 이라는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의 지난달 28일 발언과 검찰 고위간부들의 발언에서 감지되고 있다.

검찰의 한 고위관계자도 "사정이 본연의 임무인 검찰로서는 사정 중단같은 표현이 있을 수 없지만 이미 구속영장이 청구된 서상목 (徐相穆) 의원 등 현역의원 5명과 조사진행 사실이 공개된 황낙주 (黃珞周) 의원 등 정치인 7명을 처리하는 것으로도 당분간 검찰 업무는 포화상태" 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검찰의 사정파일에는 동아그룹으로부터 돈을 받은 정치인 2~3명도 남아있어 앞으로 검찰의 소나기식 사정은 없겠지만 정치권 사정이 계속될 것은 분명해 보인다.

한편 검찰은 지난 한달 동안 전직 국회의장.야당 총재.여당 부총재.전직 장관 등 중량급 인사 20여명의 비리혐의를 찾아내 구속.영장청구.소환통보 등을 해 정치권 개혁에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는 자체평가를 내리고 있다.

◇ 세풍 (稅風) 사건 = 임채주 (林采柱) 전 국세청장 구속과 서상목 의원에 대한 영장청구로 사실상 매듭지어졌다.

한때 이석희 (李碩熙) 전 국세청차장이 귀국할 것으로 알려져 사건의 전모가 밝혀지는가 했으나 그가 귀국을 거부해 전체 모금액수 등은 여전히 베일 속에 남게 됐다.

◇ 청구 비리 = 청구그룹 장수홍 (張壽弘) 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은 이른바 '장수홍 리스트' 에 포함된 의원.광역단체장 등 전원을 조사했으나 대부분 무혐의 처리될 전망이다.

또 받은 돈의 규모가 작은 한나라당 김중위 (金重緯).이부영 (李富榮) 의원도 구속영장 청구까지는 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개인 비리 = 사정 초반 한나라당 백남치 (白南治).오세응 (吳世應) 의원이 각각 김포매립지 용도변경.호텔 인허가 등과 관련, 수뢰혐의로 영장이 청구됐다.

이후 검찰은 야당 중진인 김윤환 (金潤煥) 의원과 황낙주 전 국회의장의 수뢰혐의를 포착, 소환 통보하거나 소환방침을 굳히고 있다.

이와 함께 국민회의 정호선 (鄭鎬宣).김종배 (金宗培).채영석 (蔡映錫) 의원의 공천관련 금품수수 혐의 등을 포착, 사법처리 수순을 밟고 있다.

검찰은 추석 이후 이들에 대한 사법처리 내용과 순서 등을 매듭지을 방침이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