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제 대선행보 과제…선거자금 확보-지지율 유지 험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인제 경기지사는 13일 대선출마 선언으로 경선 불복이란 명분상의 약점과 여론의 지지라는 실리 사이에서 실리를 택했다.

그러나 출마를 선언한 李지사가 맞닥뜨려야 할 과제는 적지않다.

그는 "마지막까지 완주하겠다" 고 했지만 그가 풀어나가야 할 난제는 곳곳에서 그의 행보를 가로막고 있다.

당장 李지사는 선거일까지 남은 3개월동안 창당작업과 선거운동을 동시에 추진해야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특히 정치적 경륜이 짧은 그에게 창당작업은 만만한게 아니다.

우선 급한게 세 (勢) 다.

이번 대선이 비록 TV토론이라는 변화된 환경 속에서 치러지는 것이긴 하지만 바람을 표로 연결하는데는 조직이 필요하다.

그는 이미 신한국당 경선에서 이를 실감했다.

경선이후 그를 지지했던 원내외인사들중 신당 창당에 동참의 뜻을 명확히 표시한 인사들은 10여명에 불과하다.

의원들중 김학원 (金學元) 의원이 "함께 하겠다" 고 했지만 나머지는 대부분 신중한 입장이다.

현행 정당법은 창당의 경우 적어도 26개지구당을 갖춰야 한다.

출마에 대비해 물밑 조직작업을 해왔다고는 하지만 신당 창당의 조건을 채우는 일도 그에겐 쉽지않은 일이다.

李지사측은 경선때부터 지지기반이 돼온 민주산악회의 조직에 기대를 걸고 있는 눈치다.

돈 문제도 李지사에겐 부담이다.

그는 "당원들의 당비로 운영되는 국민정당을 만들겠다" 고 밝혔지만 당장 창당자금부터 마련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다른 4명의 정당후보와 달리 지금 그는 국고보조금에도 기댈 수 없다.

한 측근은 "출마를 결심하는 과정에서 의원들마다 첫번째 물어오는게 자금이더라" 며 고민을 토로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그의 행보를 옥죄는 것은 명분없는 출마에 대한 여론의 비난이다.

경선결과 불복이라는 낙인은 이번 대선뿐 아니라 그의 정치생활 내내 따라다닐 원죄가 돼 버렸다.

선거운동이 본격화하고 경쟁후보들과 여론의 비난이 집중될 경우 민심은 등을 돌릴 수도 있다.

이로 인해 李지사의 유일한 무기인 여론지지도가 추락한다면 어쩌면 그는 거취를 다시 고민해야 할지도 모른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