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컷>케이블TV 시청자 부풀리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2면

'95년 12월 50만, 96년 6월 1백만, 96년 12월 1백50만…. 그렇다면 97년 6월엔 몇만?' 초등학생이라도 풀만한 문제의 정답을 공보처와 케이블TV협회가 11일 또다시 내놓았다.

"97년 7월 현재 케이블TV가 시청가구 2백만을 돌파했다.

케이블TV역사상 전세계에 유례가 없는 경이적인 성장으로 평가된다.

" 공보처의 발표가 예상보다 한달 늦춰진 건 경기불황이 공보처의 뒷다리를 잡은 탓일까. 공보처와 케이블TV협회는 무슨 특출난 재주가 있길래 이렇게 척척 6개월마다 50만가구씩 시청가구수를 늘릴 수 있었을까. 공보처의 요란한 '광고' 를 바라보는 일반 케이블가입자나 PP (프로그램공급사).SO (지역유선방송국) 등 케이블사업자들의 곱지않은 시선속에 '진실' 이 숨겨져 있는 것같다.

우선 공보처가 발표한 장미빛 수치 (선투자를 감안해도) 를 그대로 믿는 이는 아무도 없다.

광고주는 물론이다.

오히려 상당부분 부풀려졌다데 이의를 달지 않는다.

한 케이블 PP사 관계자의 하소연. "2백만가구가 무슨 소용있나요. 4인가구로 환산해 8백만이 본다는 케이블이 엄청난 누적적자로 도산위기에 내몰리고 YTN등 자기자본이 잠식된 PP가 8곳이나 생긴 이유는 어떻게 설명하죠. " 가입자들의 불만도 예외는 아니다.

PP.SO.NO (전송망사업자) 의 3분할체제는 출범초기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이익은 챙기고 책임은 떠넘기겠다' 는 업자들간의 이기주의로 불편은 고스란히 소비자의 몫이 돼 버린지 오래기 때문이다.

"신청을 해도 제때 설치를 안해준다" 거나 "이사한 후 재신청이 너무 번거롭다" "고장이라도 나면 속수무책이다" 등 시청자들의 항의전화 속에서 케이블TV의 어두운 현재를 만나기는 어렵지 않다.

공보처와 케이블TV협회는 구태의연한 '업적부풀리기' 대신 차분히 처리해야 할 일들이 산적해 있다.

공보처의 지적처럼 케이블이 초고속정보통신망과의 연계등 국가기간산업적 측면이 강한 만큼 가장 먼저 케이블의 장기발전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