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연례행사가 된 낙동강 식수원 오염소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식수원 낙동강을 유해 물질로부터 보호할 근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각종 독극물 유입으로 인한 수질오염이 거의 연례행사처럼 거듭되고 있지만 땜질식 대책으로 지역 주민들의 고통이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2006년 7월에는 유해 물질인 퍼클로레이트가 검출돼 영남 지역 주민들이 물난리를 겪었고, 지난해 3월엔 코오롱유화 김천공장에서 페놀이 유입돼 소동이 벌어졌다. 지난 12일 이후에는 경북 칠곡군 왜관 철교 지점 등 곳곳에서 기준량을 초과하는 1,4-다이옥산이 검출돼 대구시가 제한 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1,4-다이옥산은 섬유·합성피혁 제조 등에 쓰이는 발암 의심 물질이다. 특히 이번에 검출된 다이옥산의 농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먹는 물 권고치(50㎍/L)를 초과하는 위험 수준이라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낙동강의 다이옥산 오염 문제는 2004년에도 제기됐지만 해당업체들이 환경부와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자율적 협약을 맺는 선에서 마무리됐다. 하지만 그 뒤 거듭 증명된 것처럼 자율협약은 실효성을 잃고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이제 우리도 선진국들처럼 법에 의한 강제 조치를 강구할 때가 됐다고 지적하고 있다. 일본은 2004년 4월 WHO 권고치를 다이옥산 허용 기준치로 정했다. 미국도 주마다 차이는 있지만 평균 50㎍/L에서 85㎍/L를 기준치로 정해 관리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낙동강 수계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수자원 확보에 힘을 쏟아야 한다. 수량이 풍부하면 오염사고 위험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양의 유해 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수량이 많으면 농도가 떨어지는 이치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4대 강 정비사업 계획에 댐·저수지 건설을 포함시킨 것은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