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 억대농가 2만호 프로젝트 펴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경북지역 농민들의 소득 향상을 위한 것입니다.”

농협 경북지역본부 김병화(56·사진)본부장은 지난달 27일 발표한 ‘억대농가 2만호 육성 프로젝트’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그는 “농산물 시장개방, 고령화, 도시가구와의 소득격차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민을 위해 이 프로젝트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언제부터 이 프로젝트를 준비했나.

“작년 1월 1일 부임 때 도내 177개 전 조합장에게 경북 농협 2010 비전을 제시했다. 농축산물 공동판매 4조원, 총예수금 30조 달성 등이 주요 내용이다. 그러나 농민을 위한 비전 제시는 없었다는 판단에 따라 이를 만들었다. 1년 전부터 소득 조사 등 준비를 해왔다.”

-농촌의 어려움은 어느 정도인가.

“2006년 국내 총생산은 5% 성장했지만 농업은 오히려 -3.6% 성장했다. 농가소득도 갈수록 줄어 2006년 도시가구 소득의 78.2% 밖에 안 된다. 농업소득 비중이 43.9%로 농업 의존도가 전국 1위인 경북의 어려움이 얼마나 큰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경북은 사과·포도·복숭아·한육우 처럼 전국 점유율이 50%가 넘는 농산물이 많아 어려움도 많은 반면 잠재력도 크다고 할 수 있다.”

-경북지역 농가의 살림살이는.

“조수입이 1억원이 넘는 억대 농가는 현재 전체 농가 20만5500여 가구의 1.2%인 2500여 가구에 지나지 않는다. 억대 농가를 2009년 8000여 가구, 2010년 1만2000여 가구, 2012년엔 전체의 10% 가량인 2만99가구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게 이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어떻게 가능한가.

“생산비 절감을 통한 생산기술 혁신, 기능성 농산물 생산 등 고품질 전략 추진, 유통시장 개척과 직거래 확대 같은 마케팅 혁신, 가공품의 지속적 개발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농촌문화의 상품화 등으로 가능하다고 본다. 조직과 인력, 유통시설, 장비 같은 농협 인프라를 총 동원하면 목표 달성은 무난할 것이다.”

-다른 자치단체도 비슷한 사업을 하는데.

“행정기관은 주로 자금을 지원하는 식이다. 자치단체와도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해 이 사업을 펴겠다. 투자계획에 따라 내년부터 사업을 본격화 할 작정이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