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협력사와 상생경영 시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현대·기아자동차 그룹이 협력업체들과 공정거래 협약을 하고 상생경영을 선포했다. 협약에 참여한 업체는 그룹 각 계열사와 1, 2차 협력업체 2368개 등 2400여 개로 국내 최대 규모다.

이 그룹은 9일 경기도 화성시 롤링힐스 교육센터에서 현대차 등 10개 계열사 및 주요 협력업체 대표,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하도급 공정거래 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하도급 거래와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날 현대·기아차와 부품업체가 체결한 3대 가이드 라인은 ▶원자재 가격, 시장환경을 감안한 하도급 대금 결정 ▶계약 체결 후 서면계약서 교부 ▶협력업체 선정 및 취소 기준의 객관성과 투명성 확보 ▶하도급거래 내부심의 위원회 설치 및 운용 등이다. 이번 협약은 기업 간 자율에 의한 것으로 법적인 구속력은 없다.

김익환 기아차 부회장은 “이번 협약에 따라 고유가로 인한 원자재 급등에 대응해 단가를 조정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며 “앞으로 부품업체와 상생을 통해 초일류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박상용 공정거래위 기업협력국장은 “협약 체결에 따른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이 준수되는지에 대해 앞으로 1년 동안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현대·기아차는 이와 함께 ▶협력업체의 재무 건전화 ▶품질 및 기술개발 촉진 ▶교육훈련 및 경영활동 지원이라는 다각적인 육성책을 마련했다. 2006년 5월 시행한 납품대금 100% 현금결제 이외에 ▶100억원 규모의 친환경 자동차 연구개발비 무상 지원 ▶ 경영혁신을 위한 300억원 규모의 상생 협력 펀드 조성을 한다. 또 품질 및 기술 육성을 위해 부품산업진흥재단의 기술교육을 강화하고, 협력회사와 제품 아이디어를 공모해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벤처플라자를 새롭게 운영하기로 했다.

화성=김태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