競選 뒷걸음치는 民自-영입작전에 차질 궤도수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자당의 선거대책이 흔들리고 있다.
후보 경선,전직 장차관의 시장.군수 영입등 당이 회심작으로 개발한 선거 품목이 현실벽에 부닥쳐 무산될 위기에 있다.
현실과 이상의 괴리때문이다.
애시당초 집권여당과 경선은 잘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다.
민자당이 경선원칙에서 슬슬 발을 빼고 있다.광역단체장후보를 경선으로 뽑기로한 민자당이다.
그러나 이제와서 현실이란 벽에 부닥치고 말았다.마음대로 경선구도가 짜여지지 않기 때문이다.
당이 원하는 사람은 나서지 않으려고 한다.대체로 전현직 시장이나 지사들이다.전직총리도 있다.이른바 행정가형이다.그들의 그같은 입장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경선은 원초적인 정치논리가 지배한다.
그들이「꾼」들과의 경쟁에서 이기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그들은 공천보장을 요구한다.그러나 민자당으로서는 그럴수도 없다.경선은 민자당이 세운 원칙이기 때문이다.
최병렬(崔秉烈)서울시장의 불출마도 그런 배경을 깔고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그러다보니 영입교섭에 진전이 없다.가뜩이나 외부영입에 반발하는 민자당의원들이다.
반면 당이 원하지 않는 사람은 경선에 나서려하고 있다.주로 현역의원들이다.그들은 말려도 말을 듣지 않는다.그렇다고 내놓고말릴수도 없다.
경선이라는 원칙을 세웠기 때문이다.
이미 출마를 선언한 몇몇 의원들이 이 경우다.
이런 배경을 깔고 경선을 하기란 쉽지 않다.후유증이 빤히 보인다.선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급기야 김덕룡(金德龍)사무총장이 경선후퇴발언을 하고나섰다.그는 28일『경선만이 최선의 방법은 아니다』고 말했다.그러면서『합의도 한방법』이라 고 제시했다. 김운환(金운桓)조직위원장은 한발 더 나갔다.경선불가의 여건들을 열거했다.
공명선거분위기를 해칠 우려가 있다는 게 가장 큰 이유였다.본선당락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는게 두번째 이유였다.
그렇다면 경선을 포기하는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다고 해놓고 안할수도 없다.
결국 모양갖추기만 하는 선에서 조정이 될것 같다.많아야 두세곳이 될것이다.강원.충북.인천정도가 유력하다.
강원도는 이상룡(李相龍)지사나 한석룡(韓錫龍)전지사 누가되든괜찮다.충북도 비슷하다.더군다나 구천서(具天書)의원은 경선참여의지가 아주 강하다.인천의 강우혁(康祐赫)의원도 그렇다.현재로선 조정이 어렵다.그러나 당장 경기도만해도 조정 조짐이 있다.
전직 장차관들의 기초단체장후보영입도 비슷한 꼴이 되고있다.거창한 방침이었다.처음에는 60명의 명단을 확보했다.그러나 진전이 없다.고작 서너명 정도만 진전이 있다.경남진주의 이충길(李忠吉)전보훈처장,경남창원의 곽만섭(郭滿燮) 전산림 청장.경북 경주의 김수학(金壽鶴)전 토개공사장이 그들이다.
지구당위원장들이 반발하고있기 때문이다.의원들 입장에서는 그들의 영입이 호랑이를 키우는 꼴이라고 생각한다.언젠가 자신의 지역구를 위협할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고있는 것이다.더군다나 어떤지역은 이미 내정된 인물이 있다.
이래저래 골머리를 앓고 있는 민자당이다.그러나 당이 민주화되고 있다고 생각하면 좀 나을지 모르겠다.
〈李年弘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