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침몰, 가상 아니다?"…2050년 지구온난화 '기후난민' 10억명

중앙일보

입력

영화 '일본침몰'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지각변동으로 일본 열도 전체가 가라앉을 경우 발생할 국가 위기상황을 다루고 있다. 침몰 예고를 접한 일본 정부는 자국민들을 안전한 곳으로 이주시키기 위해 동분서주하지만 어떤 국가도 이 같은 대규모 난민을 흔쾌히 받아주지 않는다. 결국 시시각각으로 다가오는 재해에 정부 각료 및 부유층은 해외로 도피하고 나머지 1억2000만명의 국민들은 가라앉기 시작한 육지에서 발만 동동거린다.

영화에서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국제구호단체 '크리스찬 에이드(Chritian Aid)'는 19일 지구온난화가 현 속도로 지속될 경우 오는 2050년까지 약 10억명의 '기후난민'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전세계에는 전쟁, 압제 등의 정치 사회적 이유로 인한 국제, 국내 난민만 각각 1000만명, 2500만명에 달한다.

국제이주기구(IOM)의 미쉘 클레인 솔로몬은 "앞으로 50년간 엄청난 수의 기후난민이 발생할 것"이라 전망하며 "이미 방아쇠는 당겨졌다. 지구온난화가 난민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부담을 수배로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난민은 그 발생 규모가 크고 기존 난민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더 큰 문제의 소지를 안고 있다.

▲ 난민, 국제사회의 외면에 좁아지는 입지…국내난민도 심각

이라크 전쟁으로 5년만에 반등세로 들어선 세계 난민인구 역시 이주국가들이 더 이상의 난민 유입에 대해 도리질치게 만드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제연합 난민고등판무관(UNHCR)은 세계 난민의 날(20일)을 하루 앞둔 19일 "과거와 달리 난민에 대한 국제사회의 시각이 냉랭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 냉전시대 공산진영을 빠져나와 민주국가로 망명한 난민은 '용사'로 환대받았으나 최근에는 대규모 불법 경제이민이 난립하는 탓에 정치적 망명까지도 불법 이민이라는 오해 아래 홀대받고 있다.

9˙11과 같은 국제 테러 역시 특정 인종과 종교에 대한 편견을 더하면서 난민 유입에 대한 두려움과 차별을 야기시켰다.

UNHCR의 대변인 윌리엄 스핀들러는 "일부 극우 정치인들은 이 같은 사건을 통해 국민들의 외국인 혐오증을 자극, 망명과 이민의 경계를 고의적으로 흐리고 있다"고 분석하며 "난민들이 떠나온 진짜 이유를 따지기 전에 이들을 인간으로 존중하고 보호하는 것이 우선되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는 국제난민 뿐 아니라 국내 난민 실태도 심각하다.

특히 국제적 '핫스팟'으로 떠오른 이라크와 수단 다르푸르 지역에서 도피한 난민들은 국제사회의 비호 아래 구호의 대상으로 인정받지만 그렇지 않은 중앙 아프리카공화국과 차드 등의 아프리카 국내 난민들은 언론과 구호단체의 '사각지역'에 머물며 서러움을 더하고 있다.

세계 구호위원회(International Rescue Committee)의 사라 후그스는 "극단적인 예로 차드에 도피한 다르푸르 난민은 차드의 국내 난민에 비해 3배 이상의 지원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베이루트=로이터/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