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폐기물 영일에 버려라”/「땜질처방」 또 말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환경처,수도권 업체에 지시/“비용 2∼3배나”… 업자들 반발
경기도 김포해안 쓰레기매립장 주민들의 일반산업폐기물 반입 반대농성 등으로 수도권지역 2천여 산업체가 산업폐기물 처리를 놓고 진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주무부처인 환경처가 수도권내 산업폐기물 처리업자들에게 경북 영일군 개인매립장에 갖다 버리도록 지시,폐기물 처리업체·기업체들이 「행정편의주의적 땜질처방」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게다가 환경처는 폐기물 처리업체들이 산업폐기물을 더이상 버릴 곳이 없자 이미 포화상태로 폐쇄된 경기도 안산시 시화매립장·인천 경서매립장 등 두곳에 폐기물을 재반입하고 있으나 이를 묵인,수도권지역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비난이 잇따르고 있다.
27일 수도권내 15개 일반산업 폐기물처리업체에 따르면 환경처는 김포매립장 주변 주민농성으로 폐기물 반입이 불가능해지자 이를 경북 영일군 대송면 유봉산업매립장으로 갖다버리도록 22일 구두지시했다는 것이다.
업체들은 이에 따라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수거,유봉산업 매립장으로 수송했으나 매립비가 t당 2만원으로 시화·김포매립장보다 4배가 비싼데다 t당 운반비도 5만∼6만원씩 들어 수도권 매립장에 비해 전체 처리비가 2∼3배 높아 엄청난 손해를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더이상 수송이 어렵다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유봉매립장 왕복시간이 평균 14시간씩 소요되는데다 야산을 깎아 만든 이 매립장은 매립용량이 13만평 정도에 불과해 수도권 산업폐기물을 계속 반입할 경우 단기간내 포화상태에 이른다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일반산업폐기물 처리난이 장기화돼 조업중단 위기에 놓인 폐기물 처리업체들은 환경처조치가 일시적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반발하며 보다 근본적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시화매립장의 경우 해안쪽 제방보다 높게 쓰레기가 쌓여있으며 지난해 10월 제방이 붕괴돼 각종 폐수가 서해안으로 유입됐는데도 관할 안산시는 반월공단 입주업체의 폐기물처리난 해결을 위해 지난 20일까지만 재반입을 허용했었다.
이와 관련,환경처 관계자는 『산업폐기물을 버릴 곳이 없어 조업이 중단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경북지역 매립장에 폐기물을 경북지역 매립장에 폐기물을 반입토록 했다』고 밝히고 『김포매립장 주변 주민들을 설득,일반 산업쓰레기는 반입할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중』이라고 밝혔다.<이철희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