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가사항 외면 「특혜」 오해소지 커 불가피|펀성간여는 5공식 통제다 CBS노조 반발|"종교방송 성격 분명히 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방송구조 개편을 앞두고 현 공영방송체제아래에서 특수방송으로 자리잡고 있는 종교방송의 위상과 관련,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공보처가 지난 2일 기독교방송(CBS)에 대해 선교방송을 중심으로한 원래의 방송면허 허가사항을 지켜달라고 요구한데에서 촉발됐다.
공보처는 이날 CBS에 보낸 공문에서 『CBS가 무선방송국허가를 받으면서 방송내용을 기독교전도방송을 중심으로 하도록 돼 있음에도 실제 선교방송은 약 39%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선교방송을 50%이상 편성하도록 요구했다.
공보처는 또 신설방송인 평화방송(PBC), 불교방송(BBS)에 대해서도 선교중심의 방송성격을 유지하기위해 선교방송 비율을 50%이상 유지하도록 요구했다.
공보처가 분석한 종교방송의 편성비율을 보면 CBS는 총 주간방송시간 8천8백20분중 선교관련 프로그램은 3천4백45분으로 39.1%를 차지했고 PBC와 BBS는 각각 51.8%, 77.1%에 달한것으로 나타났다.
공보처에 따르면 그러나 직접적인 선교방송의 비율은 종교방송 3사가 모두 10%내외에 불과하며 조금이라도 선교와 관련된 교양·오락프로그램을 모두 합쳐도 「선교중심의 특수방송」인 종교방송 원래의 면허 허가조건에 미흡하다는 것이다.
또한 공영방송체제에서 예외적으로 종교재단에만 방송면허를 허용해 주고있는 만큼 이들 종교방송이 일반 방송과 흡사하게 되면 특혜의 소지가 크다는 것이 공보처측의 논리다.
공보처가 특정 방송의 프로그램 편성비율을 문제삼아 시정토록 요구한 것은 지극히 이례적일뿐만 아니라 최근 KBS사태를 겪은데다 정부의 방송구조 개편을 앞두고 있는 시점이어서 종교방송의 위상에 대한 이같은 정부의 움직임은 더욱 주목되고 있다.
공보처는 특수방송인 종교방송이 종합방송과 다를바 없이 편성·운영되는데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 앞으로 더 설립될 가능성도 있는 종교방송의 위상을 명백히 하기 의해 선교방송의 기본 편성비율유지, 상업방송화를 막기 위한 광고수익제한등을 방송구조개편과 함께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같은 사항을 개별적인 방송면허 허가조건으로 명시할 것도 추진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80년 언론통·페합이후 보도기능을 박탈당했다가 87년 민주화 추세에 힘입어 뉴스방송을 재개할수 있었던 CBS로서는 정부가 또 다시 방송탄압을 획책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CBS 노조는 성명을 통해 『공보처가 「선교방송을 중심으로」라고 돼있는 면허 허가사항을 자의적인 해석으로 선교방송을 50%이상 편성하도록 종용하는 것은 5공식의 보도통제를 다시 시작하고 방송을 장악하기 위한 선전포고』라고 주장했다.
한편 평화방송 재단은 지난달 선교방송보다 보도쪽에만 치우쳤다는 이유로 안성렬 보도국장을 한때 대기발령시킨바 있고, 한국기독교평신도단체협의회도 최근 CBS의 편파보도가 심하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내는등 종교계내에서도 특수방송으로서의 종교방송의 위상과 관련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채규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