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7%, 특정 약국 방문 권유

중앙일보

입력

서울 시내 의원의 7%는 여전히 특정 약국의 방문을 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세상네트워크는 지난 5월 서울 시내 100개 의원을 대상으로 특정 약국 방문 권유 여부 등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드러났다고 11일 밝혔다.

조사결과 의원의 7%는 특정 약국의 이름을 알려주거나 약국의 위치를 설명해 의원-약국간 담합행태가 근절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 비율은 건강세상네트워크가 지난 2001년, 2002년 조사한 결과와 비교하면 2001년 6.1%에서 지난해 3.8%로 감소하는 듯하다가 다시 늘어났다.

또 '환자의 알 권리' 차원에서 긴요한 처방전을 규정대로 2장씩을 발급해주는 곳은 11개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자가 요구할 경우 56개 의원이 2장을 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과거 조사결과와 비교할 때 처방전의 자발적 발급률(2001년 17.6%, 2002년 15.3%)은 낮아졌지만 환자 요구시 발급률(각각 47.3%, 61.8%)은 높아졌다.

아울러 의료비 규모는 물론 본인부담금, 건강보험 부담금, 비급여 서비스 내용 등을 알 수 있는 법정 영수증을 자발적으로 발급해주는 곳은 2곳에 불과했고, 요구할 경우 모두 95곳에서 발급해줬다.

한편 환자의 평균 진료시간은 3.6분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창보 건강세상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처방전이나 영수증에 대한 의료 소비자들의 인식은 아직 낮은 편이지만 이들은 모두 '내가 무슨 약을 먹고 있나'를 알 수 있는 단서들로 요구가 있을 때만 이를 발급해준다는 것은 아직까지 환자들의 알권리가 충분히 보장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