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 벗은 송두율] 청와대, 관용 분위기서 'U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노무현 대통령이 송두율씨 처리로 또 한번 시험대에 올랐다. 일단 청와대는 "검찰이 알아서 할 일"이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적으론 미묘한 기류 변화가 감지된다.

사태 초기만 해도 청와대엔 개인 견해로 '공소 보류'가 타당하다고 여기는 이가 많았다.

하지만 2일 오전 열린 임시 국무회의에서 문희상 대통령 비서실장은 宋씨 사건 처리 방향에 대해 "검찰과 국정원에서 '법대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핵심 관계자는 "워낙 '뜨거운 감자'라 어느 손으로 잡아야 할지 모르겠다"고 고민을 털어놓았다.

관용론자들의 입지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오후에 宋씨의 회견 내용이 전해지자 우려는 더욱 커졌다.

그간 공소 보류를 해법으로 제시했던 참모들은 '강철 서신'의 저자인 1980년대 주사파 이론가 김영환씨 사건을 예로 들곤 했다.

그러나 金씨의 경우 과거에 대한 반성과 함께 사상 전향서를 쓰고 대공 수사에 적극 협력해 당국이 공소를 보류했다.

반면 혐의가 더 무거운 宋씨가 딱 부러지게 반성과 협력 의사를 표출하지 않자 정무팀 관계자는 "국민이 납득할 수 있겠느냐"고 반응했다.

문재인 민정수석은 "공소 보류에는 확실한 사과라든지 반성 등의 요건이 있다"며 "(청와대 참모들의)속이 어떻든 이젠 모든 게 검찰 조사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宋씨 문제와 관련, 盧대통령은 "한국에 오고 싶으면 와서 조사받고, 잘못이 있으면 처벌받고, 국민과 더불어서 용서를 할 만한 일이면 용서받고, 절차를 밟아야 한다"(9월 24일 부산.경남 언론인 간담회)고 언급한 바 있다.

강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