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베는 없고 우린 또 죽었다”…‘전참시’ 사태 결말

중앙일보

입력

15일 오후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를 통해 본 언론보도의 문제점 토론회에서 유경근4.16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이 언론들의 보도로 인한 2차 피해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이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세월호 피해자 가족들이 겪은 2차 피해 사례와 특정 이슈 편파 보도 및 왜곡 사례에 대해 토론하고 해결점을 모색했다. [연합뉴스]

15일 오후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를 통해 본 언론보도의 문제점 토론회에서 유경근4.16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이 언론들의 보도로 인한 2차 피해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이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세월호 피해자 가족들이 겪은 2차 피해 사례와 특정 이슈 편파 보도 및 왜곡 사례에 대해 토론하고 해결점을 모색했다. [연합뉴스]

“엊그제 MBC에 가서 조사 결과를 들었어요. 기가 막힌 게 결국 잘못한 사람이 없어요. 그게 결론이에요.”

[사진 MBC]

[사진 MBC]

‘예은 아빠’ 유경근 4·16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15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열린 ‘언론에 의한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의 2차 피해 증언대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최근 MBC 예능 프로그램 ‘전지적 참견 시점’은 방송 내용 중 세월호 참사 보도화면을 편집해 넣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논란이 커지자 MBC는 외부 변호사가 포함된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조사에 나섰다. 조사위원회는 1차 진상조사를 마무리한 상태다.

유 위원장은 지난 주말 1차 조사 결과 등을 MBC로부터 들었다고 한다. MBC 측이 유 위원장에게 한 설명에 따르면 ‘전지적 참견 시점’ 제작진 중 누구도 피해자와 유가족을 모욕하고자 하는 의도로 문제가 된 화면을 사용하지 않았다. 제작 과정 중 벌어진 실수였다는 것이다. 해당 프로그램 PD들도 사내 정상화 파업에 적극 참여하는 등 평판이 나쁘지 않다고 한다. 유 위원장은 “저희도 처음에는 (시민들의 생각과 비슷하게) MBC 제작진 중에 ‘일간베스트(일베)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결론은 ‘잘못한 사람이 없다’였다”고 말했다.

“결국 잘못한 사람이 없다는 것인데 그 결과 우리들은 또 죽었어요.” 

또한 유 위원장은 “언론인·기자 스스로가 참사 당시 무엇을 잘못했는지를 깨닫지 못하면 이런 일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당시 취재했던 내용을 공개해 자성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로 인해 언론이 충분히 반성하고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전지적 참견 시점’은 현재 2차 조사가 진행 중이다. 폐지설이 제기된 상황에서 MBC 측은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