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무부 “완전한 비핵화 문제는 北과 타협 대상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미 국무부는 4일(현지시간) 한국 정부의 대북 특사단 파견과 관련해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는 북한과의 타협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최대 압박 지속, 이전 실수 반복 안할 것” #日 정부 “한ㆍ미ㆍ일 다양한 레벨에서 협력”

이날 국무부 관계자는 “통일된 대북 대응을 위해 한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한반도 비핵화 달성을 위한 최대의 압박작전을 유지하는 것도 이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또 “한ㆍ미는 남북관계 발전이 비핵화와 함께 이뤄지도록 최대 압박작전에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전임 정부들이 한 것과 같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부 장관. [사진 공동취재단]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부 장관. [사진 공동취재단]

일본 정부도 비핵화와 대북 압박 강화라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5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등 특사단이 방북에 대해 “북한이 완전하게 검증가능하고 불가역적인 방법으로 핵ㆍ미사일을 폐기한다고 동의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하도록 촉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생각을 미국과 공유하고 있으며 한ㆍ일, 한ㆍ미ㆍ일 간 확실하게 정유를 공유하면서 대북 문제에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스가 장관은 “한국이 북ㆍ미 대화를 중재하는데 일본의 역할은 무엇이냐”는 질문엔 “한ㆍ일, 한ㆍ미ㆍ일 간 다양한 레벨에서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특사파견 결과에 대한 전망에 대해선 “한ㆍ미ㆍ일이 대북 압박을 최대한 강화한다는 방침에는 흔들림이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 [연합뉴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 [연합뉴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 3일 중견 언론인 모임인 그리다이언클럽 연설에서 “그들이(북한) 며칠 전 전화해 ‘대화하고 싶다’고 했다”며 “그래서 내가 ‘우리도 그렇다. 그러나 비핵화해야 한다’고 답변했다”고 말한 것은 북한으로부터 직접 연락을 받은 것이 아니라고 미 정부 고위관계자가 해명했다. 5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 관계자는 “한국 정부로부터 (대화를 희망한다는 내용을)전달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최익재 기자 ijcho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