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권 민화 위 국민화합 분과위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현정권의 존재 문이라고요. 천만 에요. 민화 위의 한계성은 그런 종류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만약 그런 눈치를 봤어야 했다면 내 성격에 당장 위원회를 그만두었을 겝니다.
박병권 국민화합분과위원장(68·전 국방부장관). 노태우 대통령당선자에게 최종건의안을 전달할 23일 오후의 민화 위 마지막 전체회의에 앞서 기자와 만난 그는 민화 위 활동에 대한「일부」의 사시에 고개를 가로 저었다.
그는 광주사태진상조사·책임자처벌 등 두 가지를 건의하지 않기로 한 것에 대해『광주 측 사람들을 비롯, 불만을 터뜨리는 그룹이 있는 줄 압니다. 하지만 민화 위의 결론은 시간적·기술적 한계 내에서 파악된 사실을 토대로 한 민화 위 나름대로의 임무수행이었습니다. 앞으로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면 새로운 결론이 나올 수 있음을 부인하지 않습니다』고 말했다.
-그 엄청난 사태에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는 일부 주장이 있는데….
『한번 생각해 봅시다. 군은 지휘계통이 확실하기 때문에 책임자 규명은 그리 어렵지 않지요. 즉 당시 군의 통수권 자에게까지 그 책임이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민들 측에선 교도소 습격 등에 책임있는 사람을 가려내기란 불가능한 것 아닙니까. 그것은 형평에 어긋나지요.
-광주문제해결에 대한 민정당의 입장이 간접적으로 민화 위에 전달됐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분명히 말해 노 (NO)입니다. 그것도 유언비어 같은 거지요. 그런 의혹을 염려, 민화 위에 참여했던 민정당 의원들은 의식적으로 발언과 접촉을 자제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증언했던 군 관계자들은 군의 발포에 대해 「자위권 발동」이라 주장했지만 결국 군의 민간에 대한 「무력사용」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만약 평화적인 시위였다면 과연 군이 발포했을까요. 그때 당시 구의 흥분된 심정을 이해합니다. 내가 알기론 군이 처음 투입됐을 때에는 실탄이 지급되지 않았었습니다.』
-10·26이후 군의 정치개입이 없었더라면 광주사태도 일어나지 않았을 거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그렇게는 보지 않습니다. 아직 12·12사태에 대한 내 나름대로의 판단이 서 있지 않고…』
-민화 위 건의안의 개괄적 평가는.
『군의 정치적 중립을 강조한 것은 매우 의미 깊은 것입니다. 군이 정치에 관해 그들의 주장을 고집하는 것은 사회에 대한 커다란 해독입니다. 또한 의혹사건에 대한「의법 처리」의 건의도 빠뜨릴 수 없지요.
대한민국군번 20번. 박 위원장은 시종일관 군의 정치적 중립을 강조하면서도『5·16은 예외적 상황이었다』고 평가했다. <김 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