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반발하는 중국,,, 상무부 성명 "절대 좌시 않을 것이며 모든 적절한 조치 취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의 짝퉁 아이폰(왼쪽). [중앙포토]

중국의 짝퉁 아이폰(왼쪽). [중앙포토]

미국이 중국을 향해 '불공정 무역관행에 대한 조사'카드를 뽑아들자 중국은 좌시하지 않겠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중국이 대항조치를 통해 맞불을 놓을 경우 미·중 간 통상·무역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외교부 대변인 "미국은 다자 무역 규범의 파괴자 되지 말라"

중국 상무부는 15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의 지식재산권 침해 등에 대한 조사에 착수토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대해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발표했다. 상무부는 "미국 측이 사실을 보지 않고 다자간 무역 규칙을 존중하지 않으며 양자 경제 및 무역 관계를 훼손하는 행동을 취한다면 중국 측은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며 "우리는 모든 적절한 조처를 할 것이고 중국의 합법 권익을 결연히 지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행정명령의 근거인 미국 무역법 '301조'의 부당함을 지적했다. 상무부는 "301조는 매우 심각한 일방주의 색채를 갖고 있어 다른 국가들이 반대해왔다"며 "미국은 세계무역규칙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이 제도를 집행하겠다고 한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또 "중국이 외국 자본 투자와 관련한 경영 환경 개선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지적재산권 보호를 고도로 중시하고 행정·사법적 보호를 강화해 왔다"고 반론하며 "이런 성과는 국내외 각국이 인정하고 있다"고 미국의 조치에 불만을 표출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미국이 다자간 규칙의 파괴자가 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미국을 비난했다. 앞서 그는 14일 브리핑에서도 "한반도 문제와 무역 문제는 성질이 다른 것인데 한쪽의 문제를 다른 쪽에 압력을 가하는 도구로 삼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정부 부처의 공식 입장보다 더 강렬한 불만을 쏟아냈다.

관영 영자지인 차이나데일리는 "중국인 여행객은 미국 관광시장의 큰 손으로 연간 297만명이 미국을 방문해 매일 9천만 달러(1천27억원) 이상을 미국 경제에 쏟아붓고 있다"며 "미국이 중국을 지적재산권 침해조사로 압박할 경우 미국의 최대 관광시장이 위협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차이나데일리의 이같은 언급은 미국의 지재권 침해조사에 대해 관광객 송출 제한 등의 보복조치로 맞설 수 있음을 경고한 것으로 분석된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번 조치가 양국간 무역 및 경제협력을 크게 훼손할 것이라고 반발했고 인민일보는 미국이 무역전쟁을 일으킨다면 미국 역시 보복을 당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환구시보는 14일자 사설에서 "이에는 이 눈에는 눈으로 맞서야 한다"며 무역전쟁도 불사해야 한다는 논조를 보였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