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유엔 핵무기금지협약협상 회의 보이콧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핵무기의 전면적인 폐기를 목표로 100개국 이상이 참여하는 유엔 핵무기금지협약 협상이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막을 올렸지만 미국을 비롯한 20여 개 국이 보이콧을 선언했다.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이날 기자들에게 “전 세계가 당면한 안보에 대한 위협을 고려할 때 이 구상은 비현실적”이라면서 미국을 지지하는 20여 개 국 대사들과 함께 유엔 총회의장을 떠났다.
유엔 핵무기금지협약 협상은 지난해 10월 123개 유엔 회원국이 찬성표를 던져 올해 3월부터 개시하기로 계획돼 있었다. 핵보유국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이 주도하는 핵확산금지조약(NPT)과 달리, 핵무기의 전면적인 폐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
헤일리 대사는 "나도 세계에 앞서 가족을 위해서라도 핵무기 없는 세상을 원한다"고 말했다. 협약을 추진하는 주체들의 ‘선한 의지’를 이해한다면서도 이 협약이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
비현실적이라는 주장의 근거를 북핵에 뒀다. 그는 “북한이 핵무기 금지협약에 찬성할 것이라고 믿는 사람이 어디 있는가”라며 “우리는 정말로 우리가 당면한 위협을 이해하고 있는가 하고 자신에게 물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국과 함께 이 협약에 반대하는 20여개 국가 중에는 영국과 프랑스, 한국, 터키와 다수의 동유럽 국가들이 포함돼 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협상이 시작되기 전 “미국을 비롯한 핵보유국들이 참가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 결실이 나올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며 일찌감치 불참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협상개시 투표에서는 핵보유국인 영국ㆍ프랑스ㆍ이스라엘ㆍ러시아ㆍ미국 등이 반대표를 던졌고, 중국과 인도, 파키스탄은 기권했다. 세계 유일의 피폭 국가인 일본도 핵 군축의 효과적 진전을 가로막는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뉴욕=심재우 특파원 jwshim@joongang.co.kr

헤일리 대사 "북핵 앞두고 비현실적"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