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교수 25억원 횡령 혐의…후원금 등 70억 개인 관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서울대 황우석 교수가 정부 연구비와 민간 후원금 등 모두 70억원을 부당하게 관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박기영 전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은 황 교수로부터 연구비 2억5000만원과 함께 연구과제를 위탁받고도 아직까지 최종 보고서를 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감사원은 황 교수에 대한 연구비와 후원금 집행 내역 감사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검찰에 수사자료를 통보했다고 6일 밝혔다. 감사원 관계자는 "개인계좌를 통해 관리된 70억원 중 25억원은 횡령 혐의가 짙다"고 덧붙였다.

감사원에 따르면 2001년 이후 과학기술부 등 국가기관이 지원한 연구비(시설비 제외)는 4개 과제에 106억원으로 집계됐다. 황 교수는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원 65명 중 서울대 소속 53명의 통장과 도장을 관리하면서 인건비로 지급된 8억1600여만원을 자신의 개인계좌로 빼내 사용했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또 2004년 4월부터 돼지 등 실험동물 구입비 명목으로 서울대 수의대에서 판매 농장주 계좌로 송금된 2억여원도 황 교수 계좌로 재입금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또 황우석교수후원회와 대기업 등 민간에서 모금한 돈 97억원 중 62억원도 황 교수에게 전달됐다고 밝혔다. 이중 과학재단을 통해 받은 황우석교수후원회 후원금 18억9000만원을 본인 계좌로 직접 입금받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황 교수는 이 돈 가운데 7억원을 지난해 10월 본인 명의로 정기예금에 가입하는 등 15억원이 부당하게 집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S그룹 등 대기업에서 받은 40억원과 D건설 등 5개 건설사로부터 '경부고속철도 공사현장의 소음 진동 영향' 연구용역비 3억5000여만원도 역시 보고 절차가 생략됐다.

박의명 감사원 전략감사본부 심의관은 "황 교수가 1999년 영롱이 복제에 성공하고 2004년과 2005년 사이언스지에 논문이 게재되면서 한꺼번에 많은 후원금이 몰렸고 과기부와 서울대 등도 제대로 감독하지 못한 데서 기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감사원은 박 전 보좌관의 경우 황 교수로부터 위탁받은 '광우병 유전자 정보분석의 사회적 영향' 등 2개 과제에 대해 중간보고서만 두 차례 제출했을 뿐 최종 보고서는 제출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