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가 D램 양산 삼성, 세계 처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1기가 D램' 양산 시대가 열렸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3백㎜ 웨이퍼 1기가 DDR D램'을 본격 양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이 제품의 양산은 지난해 12월 첫 샘플을 출하한 지 7개월 만이다.

이 제품은 현재 시장에서 주력제품인 2백56메가비트(Mb) 제품에 비해 저장용량이 4배 이상 높다. 1기가 D램 양산으로 기존 노트북 PC에 들어 있는 손바닥 크기만한 메모리 모듈을 손가락 한 마디 크기의 1기가D램 칩 두개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용량 대비 제품의 크기가 기존 제품의 4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게 됨에 따라 노트북 PC 등 휴대가 가능한 제품들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1기가 DDR D램은 서버용 모듈의 용량을 4기가 바이트까지 확대할 수 있는데, 이는 영어신문 26만쪽, 음악 파일 1천곡, 영화 8시간을 저장할 수 있는 분량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미 인텔의 인증을 획득, 내년부터 본격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을 선점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1기가 DDR D램시장 규모는 올해 9천만달러 정도지만 2004년 20억1천만달러, 2005년 75억달러, 2006년 96억7천만달러, 2007년 1백21억4천만달러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제품의 양산은 화성사업장 11라인에서 3백㎜ 웨이퍼와 나노공정 직전단계인 0.10미크론(㎛)의 회로선폭 미세화 공정을 적용해 이뤄졌다. 3백㎜(12인치)웨이퍼 가공공정은 현재 경쟁업체들이 주로 사용하는 2백㎜(8인치)웨이퍼에 비해 생산량이 2.5배가 되며, 이 같은 생산성은 독일이나 미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 등을 크게 앞지르는 것이다.

1기가 DDR D램 시장은 내년에 삼성전자 단독으로 20억1천만달러의 제품 공급이 이뤄지고 2005년부터 후발업체들이 가세하면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창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