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배상가능성 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소식통은 15일 소련이 KAL기격추사건에 대한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끝까지 인정하지 않을것이나 결국 손해배상은 하게될 전망이 없지않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우리의 대소규탄및 반소 여론조성의 주요 목적은 손해 배상등을 받기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유엔안보리에서 소련의 거부권행사로 부결되긴했지만 9개국의 찬성을 얻은 대소규탄결의안의 영향이 앞으로 있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특별이사회및 총회, 유엔총회, 그밖의 국제회의에 대응할 우리의 입장을 강화하는 교두보를 확보한셈이 됐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소련이 우리의 대소규탄및 반소여론조성에따라 시간은 다소 걸리지만 태도를 조금씩 후퇴시키고 있으며 소련의 이미지가 크게 손상되고있는점등을 고려해 배상에 응하지않을수 없을것이라고 분석했다.
소식통은 불가리아가 이스라엘민항기, 유고가 미국수송기를 격추했을때 불법행위에 관한 책임은 인정하지않고 비록 시일은 걸렸지만 결국 배상한 점을 들어 소련도 이같은 형식으로 해결하려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외교는 자국의 이미지제고에 엄청난 노력을 경주하는것인데 소련은 이사건으로 살인자라는 국제여론의 비판을 받아 엄청난 국가이미지손상을 가져왔다고 지적, 이에대해 어떠한 형태로든 이미지만회를 위한 기도가 있을것이라고 내다보고 그형태가 배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