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 히로부미 마지막 말 '누가 쐈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을 보도한 싱가포르 프리프레스. 붉은 선 안은 이토가 열차에서 러 재무장관을 만났다는 내용. [뉴시스]

“누가 쐈나? 모리(비서관)도 맞았나?” 중국 하얼빈역에서 안중근 의사가 쏜 총탄에 맞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열차 안으로 옮겨져 숨을 거두기 직전 남긴 마지막 말이다.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30분 하얼빈역에 내린 이토는 7연발 리볼버 권총 3발을 맞아 30분 뒤 숨졌다. 이토는 저격 직후 곁에 있던 일본 남만주철도 사장 나카무라 요시히코(中村是公)가 끌어안자 “내가 당했어”라며 신음을 토했다. 안중근 의사 순국(3월 26일) 104주기를 맞아 ‘싱가포르 프리프레스’의 1909년 11월 18일자 ‘이토 공작 피살 상보’ 기사가 재미 언론인 문기성씨의 제보로 처음 공개됐다고 뉴시스가 25일 보도했다.

 이토는 그동안 블라디미르 코콥초프 러시아 재무장관을 만나기 위해 플랫폼을 걸어가다 저격당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신문은 이토가 열차 안에서 30분간 코콥초프와 회담했다고 전했다. 안 의사는 이토가 열차에서 내려 일본인 환영단 앞에 섰을 때를 노렸다. “회색 양복 차림에 모자를 쓴 23세(실제 31세) 한국인이 튀어나와 불과 1.5m 앞에서 3발을 이토의 가슴과 복부를 향해 쐈다”고 신문은 전했다. 안 의사는 이토를 정확히 조준 사살한 반면 모리 비서관 등 일본인 수행원 3명은 치명상을 입지 않도록 오른팔과 오른발을 맞췄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싱가포르 프리프레스는 “저격자(안중근 의사)는 현장 체포 전날 오후 7시 블라디보스토크를 경유해 하얼빈에 들어왔으며 수많은 한국인을 살해한 이토에게 복수하기 위해 왔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안 의사가 “체포 직후 아주 평온한 모습이었으며 두려움의 빛이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정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