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2003년 이라크 침공 계획중

중앙일보

입력

부시 행정부가 내년 초 이라크 사담 후세인 대통령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대규모 공습 및 지상군 파병을 구상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즈가 일요일판에서 보도했다.

이 작전에는 7만~25만명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고 뉴욕타임즈는 보도했다.

그러나 이 신문은 부시 대통령이 아직 국방부에 동원령을 하달한 것은 아니며, 침공을 위한 공식 계획도 없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지난 몇 년 동안 이라크의 '정권교체'를 위한 정책을 펴왔다. 외부의 공격에 대한 미국의 취약성을 드러낸 9.11사태 이후,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가 대량 파괴 무기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줄곧 말해왔다. 이 같은 발언은 다수의 유럽 및 아랍 국가 사이에 불쾌감을 야기해왔다.

뉴욕타임즈는 미군 혹은 연합군의 파병 가능성은 두가지 대안 시나리오가 거부된 후 대두됐다고 보도했다. 백악관은 이라크 내 쿠테타가 성공할 가능성이 적으며, 반군을 이용한 대리전투 역시 정권교체를 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결론지었다.

토론 게시판
행정부의 한 관리는 "이라크에서는 1990년대 최소 여섯 번의 쿠테타 시도가 있었으나 전부 실패했다"고 뉴욕타임즈에 밝혔다.

그는 "이라크 반군 관리들이 '쿠테타를 위한 준비가 됐다'는 신호를 우리에게 보내왔다. 그러나 이후 그들은 암살당하거나 쿠테타에 실패한 뒤 국외로 탈출했다"며 "이라크는 무서운 경찰국가다. 믿을 사람이 아무도 없는데 어떻게 쿠테타가 성공할 수 있겠는가?"라고 되물었다.

뉴욕타임즈는 작전 시기가 내년 초로 연기된 것에 대해 "적절한 군사적·경제·외교적 상황을 창출하기 위해서"라며 "두꺼운 화학 전투복을 입어야 하기 때문에 여름 전투를 피해야 하는 점, 전세계적인 유가 쇼크에 대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종식을 향한 진전이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점 등이 고려됐다"고 보도했다.

현직 미국 대통령의 아버지인 부시 전 대통령은 1991년, 쿠웨이트에 침공한 이라크군을 몰아낸다는 명분으로 이라크 공격을 감행했으나 후세인을 축출하지 못한 채 전쟁을 끝낸 바 있다. 현재 진행중인 이 계획이 얼마나 사우디 아라비아로부터 협조를 얻을 수 있는지도 관건이다.

미 국방부는 사우디 아라비아 내의 미군 기지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군사작전을 감행해야 한다는 가정하에 작전을 진행중이라고 뉴욕타임즈는 전했다. 이 계획은 사우디 아라비아의 항공 관제센터 대신 카타르를 대안으로 삼고 있으며, 터키와 쿠웨이트 내의 기지 사용을 상정하고 있다.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이 계획의 외교적 효과에 대해서는 견해가 분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딕 체니 부통령과 도널드 럼스펠드 국방장관 및 고위 참모들은 "아랍 지도자들이 공개적으로는 항의하겠지만 내심 후세인의 몰락을 환영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반면 국무부와 백악관 일각에선 "후세인 정권을 전복하려는 시도는 중동 전역을 황폐화시키고, 미국 정부가 9.11 공격의 주모자로 지적해온 오사마 빈 라덴과 그의 조직 알 카에다에 대항한 광범위한 작전과 복잡하게 얽히기 때문에 아랍국가들에 이슬람과의 전면 대치로 비춰질 수 있다"는 시각을 갖고 있다고 뉴욕타임즈는 보도했다.

NEW YORK (CNN) / 이정애 (JOINS)

◇ 원문보기 / 이 페이지와 관련한 문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