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농림 "과잉생산 쌀 주정용 활용 검토"

중앙일보

입력

김동태(金東泰)농림부장관은 22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쌀생산 중장기대책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장관은 이날 오전 경남 창원시 경남농협지역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경남지역 농민단체 대표들과 미곡종합처리장, 농협조합장 등 20여명과의 쌀산업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재고쌀 소비 및 쌀값안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장관은 "올해의 경우 생산목표인 3천650만석을 초과해 50만-100만석의 쌀이 과잉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수매물량을 대폭 늘리고 과잉생산된 쌀을 주정용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국세청 및 당정과 협의중이다"고 말했다.

또 "재고쌀의 대북지원문제는 북한이 요구하고 국민여론이 뒷받침된다면 가능할 것"이라며 "민족동질성 회복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참석자들은 "장관이 바뀔때마다 농업정책이 바뀌는 등 일관성이 없는데다 추곡수매 문제를 농협에 떠넘기려는 인상이 짙다"면서 쌀값폭락에 따른 농가소득보전, 학교급식 신곡 보급, 농지규모화사업 이자부담 경감 등 농업현안에 대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이에대해 김장관은 "올해 수확기에 정부와 농협, 미곡종합처리장을 통해 예년보다 200만석 정도 확대한 1천325만석을 매입하고 정부수매를 차질없이 추진해 수확기가격하락을 방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곡종합처리장의 원료벼 매입자금 금리를 5%에서 3%로 인하했고 자금 지원규모도 확대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양곡 공매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현재 1%대로 떨어진 계절진폭을 7-8%대로 유지하도록 노력해 쌀값하락을 방지하겠다"고 말해 미곡종합처리장의 경영난 해소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김장관은 "정부에서 수매할 수 있는 물량외에는 농협 등에 강제로 수매하라고 할 수 없다"며 "쌀소비를 최대한 늘려 재고쌀 해소와 쌀값안전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연합뉴스) 황봉규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