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 로그인하고 한결 더 편리해진 나만의 중앙일보를 경험해보세요.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있습니다.
바다는 인간이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탄소저장고이자 달궈진 지구의 열을 흡수하는 냉장고 역할을 한다. 하지만, 올해 전 세계 바다는 전례 없이 뜨거워지면서 그 기능이 무너지고 있다. 가속화되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해양 생태계가 붕괴되고 바다는 고유의 탄소저장 능력을 상실할 위기에 처한 것이다. 중앙일보는 창간 58주년을 맞아 동해부터 대서양·인도양·북극해까지 기후변화가 전 세계 해양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고 지구의 푸른 폐, 바다 환경을 회복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2023 중앙일보 대학평가 기사를 모아 보여드립니다. 연구·교육·여건·평판에 해당하는 다양한 지표로 4년제 국내 대학을 평가·분석했습니다.
886만 명. 17년 뒤 사라질 한국의 '생산가능인구' 입니다. 급속한 저출산·고령화는 머지 않아 한국의 성장 동력을 멈추게 할지도 모릅니다. 비슷한 고민을 안은 전 세계는 '이민'을 해법으로 내놨습니다. 거스를 수 없는 '이민 시대'. 중앙일보가 경쟁국(일본), 인력 송출국(베트남), 선진국 등의 움직임을 돌아보고 '선택받는 나라'가 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합니다.
중국 심층 보도에 앞장서 온 중앙일보 중국연구소가 2016년부터 연재해 온 대표 중국 콘텐트.
2022 중앙일보 대학평가 기사를 모아 보여드립니다. 연구·교육·여건·평판에 해당하는 다양한 지표로 4년제 국내 대학 52개교를 평가·분석했습니다.
지난 6월 1일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자치단체장은 최근 취임 100일이 지났다. 시도지사와 시장·군수·구청장 등 자치단체장은 4년간 펼칠 주요 사업의 틀을 짜고 실행에 옮기고 있다. 중앙일보는 이들의 살림살이 계획을 듣고 소개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특히 행정의 주민 밀착도가 훨씬 높은 시장·군수·구청장을 집중적으로 만났다.
주말 아침의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세계 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폭넓은 시각 속에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가족의 자격을 새로이 법원에 물어야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가족연(緣)을 끊으려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법원은 어떤 해답을 줄까요. 또 법의 공백은 어떻게 채워야 할까요. 중앙일보가 새로운 가족의 자격을 묻습니다.
이슈를 보는 중앙일보의 시선, 분석과 인사이트가 담긴 사설을 생생한 영상으로 전해드립니다.
단순한 호기심이 아닙니다. 청소년이 해외직구로 마약을 밀수하고 메신저 채팅앱으로 판매하는 세상입니다. 한때 마약청정국에서 시나브로 10代 마약공화국으로 전락한 대한민국. 중앙일보가 대검찰청ㆍ국가수사본부ㆍ식품의약품안전처ㆍ마약퇴치운동본부 전문가와 단속은 물론 치료ㆍ재활ㆍ교육예방 전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합니다.
중앙일보 내셔널팀 기자들이 들려드리는 식도락(食道樂) 이야기입니다. 전국의 향토 음식과 식재료에 담긴 스토리 추적을 통해 각 고장이 품은 숨은 맛과 인문적 지식의 향연을 펼쳐보입니다.
중앙일보는 세대 갈등이 첨예하던 2021년, 2030세대가 기성세대를 향해 던지는 도발적인 문제 제기 칼럼 시리즈 ‘나는 저격한다’로 온라인 공론장에서 큰 화제를 모은 바 있습니다. 당시의 문제의식은 그대로 유치한 채 필진과 대상, 주제를 확장한 ‘나는 고발한다’를 새롭게 시작합니다. 매주 월~금요일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중앙일보가 2,014명 국민과 4명의 대선 후보자에게 진행한 여론조사 분석 기사입니다.
중앙일보 인사 동정 기사 모음
중앙일보 부음 기사 모음
전국 각지에서 나고 자란 중앙일보 기자들이 선거를 앞두고 고향으로 되돌아가(Back Home) 전하는, 생생한 지역 민심 리포트.
2021 중앙일보 대학평가 기사를 모아 제공합니다.
4차 산업혁명, 창조경제, 혁신경제…'구호'만으로 굴러갈 대한민국이 아닙니다. 중앙일보가 경제 모세혈관에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혁신창업 현장이 모여야 대한민국이 완성됩니다.
리셋 코리아는 탄핵과 대선 국면으로 혼란했던 2017년 1월 중앙일보·JTBC의 국가 개혁 프로젝트로 출범했다. 각 분야 전문가 260여 명으로 구성됐으며, 전문가 숙의를 통해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왔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전문가 논의를 거쳐 한국 사회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연금개혁 등 10개 분야, 36개 어젠다를 도출했다. 이들 어젠다는 10회에 걸쳐 게재되며 전문가 논의 내용을 풀텍스트로 싣는다.
리셋 코리아는 탄핵과 대선 국면으로 혼란했던 2017년 1월 중앙일보·JTBC의 국가 개혁 프로젝트로 출범했다. 각 분야 전문가 260여 명으로 구성됐으며, 전문가 숙의를 통해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왔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전문가 논의를 거쳐 한국 사회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연금개혁 등 10개 분야, 36개 어젠다를 도출했다. 이들 어젠다는 10회에 걸쳐 게재된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기원부터 백신, 각국의 대응 및 사회 문화 경제적 영향까지, 코로나19에 대한 모든 지식을 한곳에 담았습니다. 그동안 중앙일보 기자들이 생산한 코로나19 관련 기사들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습니다. 번거롭게 여기저기 찾아보지 않아도 코로나19에 대한 모든 것이 한 눈에 정리됩니다.
이정재 중앙일보 칼럼니스트가 쓰는 정치 풍자 무협 ‘대권무림’이 판타지 정치의 세상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세상을 깊게 보고 싶으시죠. 중앙일보 현장 팀장(데스크) 18명과 전문기자 8명이 주말마다 디지털 안내서를 독자 여러분께 제공합니다.
중앙일보와 미국의 대표적 싱크탱크인 CSIS가 공동 주최하는 연례 포럼
2023.12.01 00:52
2023.12.01 08:57
2023.11.30 16:58
2023.12.01 10:29
2023.12.01 01:19
중앙일보는 뉴스레터, 기타 구독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수집·이용 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거부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 동의를 거부 하였을 경우 이메일을 수신할 수 없습니다. 구독 신청을 통해 발송된 메일의 수신 거부 기능을 통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