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돌아온 이제마] 下. 심신 함께 고치는 생활의학

    [돌아온 이제마] 下. 심신 함께 고치는 생활의학

    개인마다 다른 체질과 심성을 구분, 양생(養生)법을 제시한 사상(四象)의학은 세계에 유례가 없는 한국만의 독특한 심신(心身)의학이다. 질병 치료에 체질론을 적용하는 것은 사상의학의

    중앙일보

    2002.10.22 11:42

  • (下)心身 함께 고치는 생활의학

    개인마다 다른 체질과 심성을 구분, 양생(養生)법을 제시한 사상(四象)의학은 세계에 유례가 없는 한국만의 독특한 심신(心身)의학이다. 질병 치료에 체질론을 적용하는 것은 사상의학

    중앙일보

    2002.10.22 00:00

  • [돌아온 이제마] 上. 사상의학과 지놈 '세기의 만남'

    [돌아온 이제마] 上. 사상의학과 지놈 '세기의 만남'

    "내가 죽은 뒤 1백년이 흐르면 사상(四象)체질 의학이 온 세상을 풍미할 것이다." 20세기를 바라보는 1900년 11월 12일, 64세의 나이로 세상을 뜨며 동무(東武) 이제마(

    중앙일보

    2002.10.15 10:02

  • 돌아온 이제마 (上) 四象의학과 지놈 '세기의 만남'

    ◇유전체 연구로 사상(四象)을 증명=사상 체질론은 인체를 태양(太陽)·태음(太陰)·소양(少陽)·소음(少陰)인의 네가지로 나눠 양생(養生)이나 치료법을 달리 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중앙일보

    2002.10.15 00:00

  • 본질의 의학론|사상의학|이명복

    신경해부학의 권위인 이명복 박사(서울대의대 명예교수)는 양의이면서 한의학에도 깊은 관심을 갖고 두 분야의 접목을 시도, 독특한 경지를 개척하고 있다. 이 박사의 사상·팔상의학과 체

    중앙일보

    1989.07.24 00:00

  • 체질에 맞춰 먹어야 효험|알맞는 건강식과 선택 요령을 알아본다

    자연식품과 생약을 이용한 요리가 나날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와 관련된 책들이 잇달아 나오는가 하면 몸에 좋다는 희귀식품들이 불로장수의 명약인듯 과대 선전되어 마구 팔리기도 하는

    중앙일보

    1986.05.29 00:00

  • (410)한방 체질론-체질 자가감별법-홍순용(원광대 교수)

    이제까지 태소음양인의 체형기상과 용모·성격에 대해 설명하였거니와 이제는 자신의 체질을 아는 방법이 무엇이냐에 관해 설명해 보고자 한다. 이에 관해서는 뚜렷한 객관성이 없기 때문에

    중앙일보

    1984.02.11 00:00

  • (408) 한방체질론-소음인과 질병

    동무 이제마의 의학정신은 타고난 체질과 이에따른 성격적 결함을 잘파악해서 종교나 도덕적 수양으로 마음의 안정을 찾는것이 곧 예방의학의 첩경이라고 생각한 것이었다. 「옛날사람들은 애

    중앙일보

    1984.02.04 00:00

  • (406)한방체질론|태음인과 음식

    우리 나라에는 「열병에 땀도 못 내고 죽을 놈」하는 지독한 욕설이 있다. 그런데 태음인의 열성병에는 반드시 약을 써서 땀을 내야만 병이 풀린다. 그러나 약을 써도 땀이 나지 않으면

    중앙일보

    1984.01.28 00:00

  • (405) 한방체질론 태음인의 체질·성격

    태음인은 본질적으로 간대폐소하므로 간이 있는 허리통이 굵고 또 발달되었으며 폐가 있는 가슴에서 목과 목덜미쪽은 외롭고 약하다. 그러나 선천적으로 대륙성 기질을 타고났기 때문에 사상

    중앙일보

    1984.01.21 00:00

  • (402) 한방체질론

    사상의학에서는 질병의 발생을 오장의 대소와 허실로 설명한다. 허한쪽이 더욱 허해지거나 실한 것이 더욱 실해져 허실사이의 균형이 무너질 때 병적인 상태에 이른다고 보는것이다. 또 장

    중앙일보

    1984.01.11 00:00

  • (401)한방체질론

    옛날 그리스 철학에서는 우주의 구성 요소·풍·토로 보았으며, 「히포크라테스」는 인체도 혈액·점액·담즙·흑담즙의 네가지 액체로 되었다고 주장했다. 심리학 분야에서는 다혈질·담즙질·우

    중앙일보

    1984.01.04 00:00

  • 본태성 고혈압은 일종의 심신 질환|내과 전문의 박석련 박사 주장

    고혈압의 90%이상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일컬어진다. 그런데 최근 본태성 고혈압은 유전적인 체질과 환경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한 합작 산물이라는 새로운 학설이

    중앙일보

    1975.05.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