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주격조사「가」의 재발견

    한글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3백25년전 한글체 서한 하나가 최근 어느 국문학자에 의해 햇빛을 보게 되었다. 궁체 한글로 유려하게 쓰여진 이 서한은 봉림대군(효종)이 청도 심양에

    중앙일보

    1966.10.11 00:00

  • 9일은 『「한글날」』이자 한로

    9일은 한글날이자 한로. 5백20년전인 세종28년(서기1446)에 세종임금이 집현전학사들과 심혈을 기울여 나라글자인 한글을 만들어 온국민이 쓰기쉽도록 반포한날. 이날 여주 열릉에서

    중앙일보

    1966.10.08 00:00

  • 한글날에 한마디

    줄기찬 끈기가 없는 것 같다. 그저 그때뿐, 시간이 흐르고 달이 지나면 언제 그런일이 있었느냐는 표정으로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것 같다. 한글전용문제만해도 그럴것같다. 마치 최후의

    중앙일보

    1966.10.08 00:00

  • 이조중엽∼말엽 인물중심(20)-유홍열|국어학의 개척자 서파 유희

    유희는 양반집의 아들로서 일찍부터 온갖 학문을 닦고 여러가지의 책을 지었으나 60평생에 한번도 벼슬을 살지 않고 오로지 숨어서, 특히 언문이라고 부르던 우리 국문의 훌륭함을 연구하

    중앙일보

    1966.07.23 00:00

  • 발명상에 빛나는|송계범씨의 「텔렉스 모아쓰기 텔리타이프」

    우리 한글은 세계적으로 뛰어 난 문자라고 국민학교에서는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한글에는 중요한 두 가지 결점이 있으니 하나는 아직도 완전치 못한 맞춤법이며 또 하나는 기계화의 어려

    중앙일보

    1966.05.19 00:00

  • 18일부터 세계문자전|본사와 「유네스코」한위주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본사와 공동주최로 「세계문자전」을 마련, 18일부터 1주일간 서울중앙공보관제1실에서 그 첫선을 보이게 된다. 「유네스코」창립20주년 기념행사의 하나로 세계

    중앙일보

    1966.05.17 00:00

  • 공문서·신문·출판물 등 한글 전용법을 성안

    정부는 내년 10월 9일부터 공공문서, 민원서류, 신문, 잡지, 출판물 등 모든 문서를 한글로 모아서 가로 쓰고, 70년 10월 9일부터는 한글을 공문에서 전용하기 위해 한글 사용

    중앙일보

    1965.11.27 00:00

  • -조국에 돌아와서- ⑤|김소운

    『봄철 되면 신문광고에 희한한 글자들이 눈에 띈다.- 화견절힐 변당특별조제- 애국자들이라 곧 죽어도 한글로 쓰는데 하느님 맙소사! 이게[화견절힐 변당특별조제]란 광고이다-』 수필집

    중앙일보

    1965.10.19 00:00

  • 글자와 말

    기념식을 하고 유명한 사람들이 연설을 하시고, 백일장을 벌이는 정도로 금년「한글날」 이 끝나면 결국 해마다의 허사. 한글이 나라의 으뜸가는 자랑이라 하여 신주단지 같이 모셔만 놓고

    중앙일보

    1965.10.09 00:00

  • 한자에서의 해방 다짐 갖가지 행사도

    5백19돌을 맞는「한글날」인 9일­한글학회와 세종대왕 기념사업회는 기념식을 갖가지 행사를 벌이는 한편,「한문글자에서의 해방」을 선언, 한글전용을 외쳤다. 이날 상오10시 서울시민회

    중앙일보

    1965.10.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