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대민족문화연 주최 학술발표회 국어·국문학 연구사

    국어국문학연구의 역사와 현황을 정리분석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한 학술발표대회가 24, 25일 고려대에서 열렸다. 국어국문학회 창립 20주년과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창립 15주년을

    중앙일보

    1972.06.27 00:00

  • 처용설화 그 종합적 고찰

    한국학 연구방법론 정립을 위한 첫 시도로서 성균관대 대동문화 연구원은 3일 동교 호암관에서 「처용설화의 종합적 고찰」을 주제로 학술 「심포지엄」을 가졌다. 처용설화라는 하나의 「테

    중앙일보

    1972.06.05 00:00

  • 정신분신학적으로 본 울주인귀석각 17일자 게재 『남근과 거북의 암벽화』를 읽고|이규동

    본지는 1윌17일자(일부지방 18일자) 4면에 울주군 언풍면 대곡동 저수지변에서 동대 박물관 조사반에 의해 새로 발견된『남근과 거북의 암벽화』를 소개하였다. 정으로 움푹 쪼아 거북

    중앙일보

    1972.01.22 00:00

  • 주체의식 정립에의 발돋움|역저를 통해 본 '71년의 「한국학」

    71년의 한국학계는 주체의식의 정립을 학문의 토대 위에서 찾으려는 움직임과 학문연구의 수준을 세계적인 것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던 것 같다. 「한국학」연구를 세계

    중앙일보

    1971.12.23 00:00

  • 아시아 학술연구회「세미나」|통일의 기반은 고유사상 개발로

    한국의 독자적인 고유사상을 찾아내서 이를 세계성 있는 것으로 발전시키는 일은 누구에게 맡길 수 없는 한국인의 과업이다. 그러나 그 과업의 수행은 능력면에서나 자료면에서 아직도 너무

    중앙일보

    1971.11.03 00:00

  • 민속학의 현대적 의미 모색

    「전통과 민속학의 현대적 방향」을 주제로 23·24일 원광대민속학연구소가 마련한 국제학술회의는 한·중·일 등 3개국의 관계학자 30여명이 참석, 민속학에서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했

    중앙일보

    1971.10.26 00:00

  • 한국학분야 중요 저술 10권 묶어|『한국 한적 민속 총보』제 1 집 출판

    「한국 한적 민속총보』 제1집이 최근 자유중국에서 출판 되었다. 전 12집의 이 총서는 임동권(한국민속학회장), 이원식(중국문화학원 한국연구소장), 누자광(중국민속학회리사장) 씨

    중앙일보

    1971.09.10 00:00

  • 『비전공』을 뚫은 심층연구|이색...두 학자의「외도논문」

    분야가 다른 학자의 이색적인 외도논문 2편이 최근 학계의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것은 성대「논문집」이 게재한 김우탁 교수(영문학·성대 교양학 부장)의 우리 나라 고유의 창극무사에

    중앙일보

    1971.08.10 00:00

  • 임동권 저 『한국민속학논방』

    한국민속학 분야의 저작물은 딴 분야에 비하여 극소한 실정이다. 민속학 자체의 학문적인 성숙도 이제 계몽기를 넘어서 개척기에 들어섰을 뿐이다., 민속학은 특히 현지조사를 통하여 연구

    중앙일보

    1971.06.30 00:00

  • 구주에 심은 한국학

    한국학 관계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관계기관과의 연구협 회의 차 지난 7월 8일 잠시 귀국한 화란 「라이덴」대학의 우재승 교수(37·한국학)를 만나 「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상황을 들

    중앙일보

    1970.08.04 00:00

  • (9)-외국인 학자를 찾아|언어 벽 뚫고 1년 「향약」연구|독일 정부 장학생 「아이커마이어」부교수

    독일 「보쿰」대학교 부교수 「디터·아이커마이어」박사는 한국을 공부하고 그 결과 박사 학위를 받은 서독인이다. 1967년 12월 「보쿰」대학에서 학위를 맡게 한 논문은 『연암 박지원

    중앙일보

    1970.07.06 00:00

  • 푸짐한 수확 가을학계|「세미나」등 활발했던 학술집회

    금년 가을은 각종「세미나」와 발표회 등 학계의 움직임이 유독 활발하다. 10, 11월 2개월간에 중요 학술집회가 30여건에 달하며, 각 분야에 걸쳐·연일 계속되고 있다. 이것은 각

    중앙일보

    1969.11.18 00:00

  • 「한국문화기원」심포지엄

    한국문화인류학회 창립 10주년 기념발표회가 16·17 양일간 서울대문리대서 열렸는데 『한국문화의 기원』을 살펴보는 마지막「심포지엄」에선 국사 고고학 언어학 민족학 및 민속학등 각

    중앙일보

    1968.11.19 00:00

  • 새해 문화계를 내다본다|「앙케트」

    한국의 문화계는 차차 안정을 찾고 있다. 침체한 안정이 아닌 진지한 반성 속에서의 발전적인 안정이다. 문화인들은 한결같이 새해에 큰 기대를 품는다. 지난해는 그런 소지들이 더러 엿

    중앙일보

    1967.01.01 00:00

  • 고민하는 「서구신학」-서독 종교계의 최근 동향

    지난 5월말부터 6월 한 달에 걸쳐 필자는 서독정부의 초청으로 동료교수 3명과 함께 서독 종교계 및 철학계를 시찰할 기회를 가졌다. 필자는 6월25일 공식 일정이 끝난 다음 「오스

    중앙일보

    1966.09.17 00:00

  • (끝) 문학 비평|조동일

    『제3세대는 식민지적 지식인의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창조의 길을 닦는 사람일 것이다』 젊은 비평가 조동일(27)은 안경 너머의 날카로운 눈빛을 굴리며 세대론을 편다. 1세대는 맹

    중앙일보

    1966.04.19 00:00

  • (상) 하와이 대학 이학수 교수 특별기고

    한국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은 늘 역사의 소용돌잇 속에 있었다. 동족상잔의 6·25동란과 두 차례의 혁명과 그 어지러운 회오리바람들과. 그것은 한국의 사뭇 부정적인 얼굴이다. 한국의

    중앙일보

    1965.09.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