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푸틴이 반한 중국 만두, 정체가 뭐니

    푸틴이 반한 중국 만두, 정체가 뭐니

    요즘 중국에서 톈진의 명물 거우부리(狗不理) 만두가 화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베이징에서 고속철을 타고 톈진에 가 거우부리 만두를 먹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직접

    중앙일보

    2018.06.19 16:10

  • 호텔에선 ‘아침잠’ 보다 ‘아침밥’

    호텔에선 ‘아침잠’ 보다 ‘아침밥’

     ━  호텔리어 J의 호텔에서 생긴 일   한 특급호텔이 내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국내 호텔을 고를 때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을 물은 적이 있다. 결과는 뜻밖이었다. ‘조식’이

    중앙선데이

    2018.05.12 01:00

  • 전통주 전도사 된 ‘식신’의 새로운 도전

    전통주 전도사 된 ‘식신’의 새로운 도전

    지난해 말, 한 연예인이 압구정 로데오에 음식점을 연다는 소식을 접했다. 평소라면 “그래요?” 하고 말았을 텐데 “전통주에 대한 의지가 상당해요. 50~60종으로 시작해 더 늘려

    중앙선데이

    2018.01.14 02:00

  • [글로벌 J카페] 트럼프에 대접한 소박한 中 가정식 메뉴는

    [글로벌 J카페] 트럼프에 대접한 소박한 中 가정식 메뉴는

     ━  시진핑이 트럼프에게 대접한 중국 가정식 메뉴 들여다보니   쓰촨 요리인 닭고기 캐슈너트 볶음 '궁바오지딩'.   성대한 영접 행사와 대규모 투자 약속과 비교

    중앙일보

    2017.11.10 20:44

  • [커버스토리] 최고급 식재료, 럭셔리 분위기 임금님 잔칫상 안 부러워요

    [커버스토리] 최고급 식재료, 럭셔리 분위기 임금님 잔칫상 안 부러워요

    마카오 미슐랭 스타 레스토랑은 최고의 식재료로 최상의 맛을 끌어내는 셰프들의 경연장이다. 사진은 광둥요리 전문점 디 에이트의 해물영양밥. 『미슐랭 가이드』는 프랑스 타이어 제조업

    중앙일보

    2015.09.04 00:02

  • 짜장면·짬뽕 없이 일품 요리로 승부

    짜장면·짬뽕 없이 일품 요리로 승부

    중식당을 찾는 이유, 대략 이렇다. 일단 편하다. 비 오는 날, 밥하기 싫은 날, 손님이 온 날, 이사하는 날 전화 한 통화로 코앞에 한 상이 차려진다. 또 최대 다수의 최대 만

    중앙선데이

    2015.01.17 03:26

  • [맛대맛 라이벌] 한정식

    [맛대맛 라이벌] 한정식

      모임이 많은 연말입니다. 프렌치, 이탈리안 레스토랑도 좋지만 우리 전통이 담긴 한정식집은 어떨까요. 이번에 소개할 두 집 모두 조선시대부터 이어온 메뉴를 선보이는 곳입니다. 한

    중앙일보

    2014.12.17 00:01

  • 하루 4번 옷 갈아입는 500년 가문 지킴이 … 강남 명문가 종택 ‘필경재’를 찾아서

    하루 4번 옷 갈아입는 500년 가문 지킴이 … 강남 명문가 종택 ‘필경재’를 찾아서

    광평대군(세종대왕의 5남)의 후손이자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녹천 이유의 11대 종손인 이병무(68)씨. 그는 하루 네 번 옷을 갈아입는다. 서울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종택 ‘필경

    중앙일보

    2012.02.28 11:00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일본식 청주 ‘니혼슈’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일본식 청주 ‘니혼슈’

    따뜻함이 그리워지는 요즘입니다. 모락모락 김이 오르는 국물 요리와 함께 따뜻하게 데워진 청주 한 잔은 겨울 찬바람의 매서움을 덜어줍니다. 우리가 흔히 ‘사케(酒)’라고 하는 일본식

    중앙일보

    2011.12.26 00:24

  • 세계로 나가는 한정식

    세계로 나가는 한정식

    “내게는 접시 하나하나가 화선지고 캔버스죠. 모든 게 디자인 시대에 걸맞게 변화하고 있는데, 유독 우리 식문화만 제자리걸음이라는 게 안타까워요.” 10년째 전통혼례음식과 선물음식

    중앙일보

    2008.01.12 11:14

  • [서울 탐험] 인사동서 이국 풍물 느껴보세요

    물구나무를 서면 익숙했던 사물들의 모습이 색다르게 다가온다. 거리도 마찬가지다.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고정 이미지가 만들어진 '~거리' 들도 뒤집어 보면 뜻밖의 얼굴을 갖고 있다.

    중앙일보

    2000.12.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