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기가설을 반대

    성북구 하월곡동 산2의 11 4천8백가구 2만4천 동민들은 서울시내에 살면서 전기를 켜지 못한채 등잔불을 밝히고 산다. 지난 65년 시내 여러곳에서 이곳에 정착한 동민들은 전기가설

    중앙일보

    1969.04.22 00:00

  • 독사에 물려 절명

    집을 헐리고 노숙중인 철거정착민 노희선씨(38)의3남 진석군(3)이 독사에 물린지 12시간만인 27일 낮12시쯤 숨졌다. 노씨 일가족은 영등포구신대방동에서 무허가 판잣집을 헐리고

    중앙일보

    1968.08.28 00:00

  • 하늘 아래 첫 학교|정착민 따라온 처녀선생님 "헛간 공부" 끝에 아담한 교사

    해발1천2백64미터. 하늘이 한손에 잡힐듯한 산꼭대기 화전민부락에 하늘아래 첫 학교가 세워졌다. 「버스」에서 내려 80리의 산길을 더듬어 올라야하는 강원도 횡성군 갑천면 신대리 태

    중앙일보

    1968.08.22 00:00

  • 영세민울리는도로

    서울영등포구청에서는 정착민1백10가구를 이주시킨지8개월만에 다시 옮기기 위해60여동의 흙벽돌집을마구 헐어내고있어 영세철거민들은 일관성없는 당국의 방침을 시정해 줄것을 호소하고 있다

    중앙일보

    1968.04.05 00:00

  • 구청 직원 피살

    서울 노량진경찰서는 8일 하오 임장규(46·시흥동 산 89) 강용남(39) 서현수(32·시흥동 산 90)씨 등 3명을 폭행치사혐의로 구속했다. 이들은 지난 6일 하오 4시 20분쯤

    중앙일보

    1967.05.09 00:00

  • 시영 합승「버스」 승차 거부

    변두리 영세민들이 요금이 싼 일반「버스」를 요구, 시영합승을 「보이콧」하여 시 행정에 맞서고 있다. 지난달 20일부터 15원 하는 시영 좌석「버스」가 신림동 선에 배치되자 요즘 신

    중앙일보

    1967.04.05 00:00

  • 용산구청에 감사장|신림동 이주 정착민

    11일 상오 영등포구 신림동에 이주한 8백85가구의 정착민 대표 장재규씨 등 5명은 용산 구청을 방문, 지난 1년 동안 정착을 위해 애써 준 용산 구민의 정성을 고맙게 여겨 구청장

    중앙일보

    1967.01.11 00:00

  • 난민들 혹한에 덜덜

    1만3천가구의 난민을 영등포구 봉천동 목동·신림동, 성북구상계동·도봉동, 성동구거여동 등 5대 집단정착지에 수용한 서울시는 l가구당 1만원씩 보조를 주어 4가구단위로 집 한 채씩을

    중앙일보

    1966.12.28 00:00

  • 「대영제국」의 상징

    【런던 1일 AFP합동】영국정부의 식민성이 1일 정식으로 개??됨으로써 일??를 모른다던 영국의 세계 식민지 제국은 마침내 종말을 고했다. 그러나 아직도 이 식민성은 곧 독립하게

    중앙일보

    1966.08.02 00:00

  • 귀농정착민은 호소한다

    나는 혁명정부의 제1차 귀농개간사업으로 이곳 포천에 정착한 농민의 아들이다. 지난해는 이지방도 극심한 가뭄과 홍수로 농사에 피해가 많아 다가오는 춘궁기를 넘기기가 매우 어렵게 되었

    중앙일보

    1966.03.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