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장애인용 경사로 의무화

    7월부터 신축하는 건물에 동네의원이나 이.미용실, 대형 수퍼마켓 등이 들어갈 경우 건물 출입구에 장애인용 경사로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의원이 들어가는 건물에는 장애인용 화장실과

    중앙일보

    2005.05.05 18:55

  • 공항 곳곳 무료 라운지…멤버십카드 있으면 OK

    공항 곳곳 무료 라운지…멤버십카드 있으면 OK

    ▶ 출국장 곳곳에 있는 공항라운지에선 인터넷 검색, 신문구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격적인 휴가철이 다가오고 있다. 해외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거쳐야 할 필수 관문의 하

    중앙일보

    2004.05.20 18:17

  • 장애인 시설은 모두에게 편리해야

    우리나라에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본격적으로 설치·운영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그나마 사회적 관심이 생긴 것은 1997년 '장애인·노인·임산부들의 편의증진

    중앙일보

    2002.05.16 00:00

  • 규정 애매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얼마 전 동네에 있는 시립도서관에 여든이 넘은 할아버지를 모시고 갔다. 할아버지께서 새로 생긴 도서관과 주변시설을 구경하고 싶다고 했기 때문이다. 도서관에 도착해 주차를 하려고

    중앙일보

    2002.04.24 00:00

  • 인천공항, 첨단 미래형 국제공항 '우뚝'

    인천공항의 시설은 ▶여객터미널 ▶항공화물처리 시설 ▶비행장 시설 ▶항행안전시설 ▶공항정보통신시스템과 통합운영센터 ▶환경 및 기타 공항시설 ▶교통시설 등으로 구분된다. 여객터미널의

    중앙일보

    2001.03.27 00:00

  • 대구 경찰서, 장애인 도움벨 설치

    장애인들의 손발 노릇을 할 도움벨이 등장했다. 대구 북부경찰서는 2일 경찰서 입구 길가에 가로.세로 각각 10㎝, 높이 1m의 사각형 스테인레스에 버튼이 달려 있는 '장애인 도움벨

    중앙일보

    2000.05.03 00:00

  • 장애인을 위한 도움벨 등장

    장애인들의 손발 노릇을 할 도움벨이 등장했다. 대구 북부경찰서는 2일 경찰서 입구 길가에 가로.세로 각각 10㎝, 높이 1m의 사각형 스테인레스에 버튼이 달려 잇는 '장애인 도움벨

    중앙일보

    2000.05.02 09:35

  • 주공, 내년부터 장애인이 편한 아파트 만들어

    대한주택공사는 내년부터 노인 및 어린이, 임산부, 장애인 등의 주거 편의를 향상시킨 `무장애 공간화' 아파트 설계를 전국의 주공아파트 공사에 적용해 나가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중앙일보

    1999.11.15 15:28

  • 장애인 주차단속 당국 시늉만…1년간 22건만 적발

    장애인용 주차장에 얌체 주차한 차량에 대한 단속이 시늉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9일 보건복지부의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중앙일보

    1999.09.30 00:00

  • 우렁이 요리 음식점 고소득 업종 각광

    우렁이 요리 음식점이 실직자들에게 고소득 업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지난 7월 전주시덕진구진북동 전주상호신용금고 주차장 맞은편에 우렁이 음식만을 전문 취급하는 한국우렁촌이 개업한 데

    중앙일보

    1998.09.01 00:00

  • 脫北 김경호씨 一家 김포 도착 스케치

    金씨는 가벼운 중풍을 앓고 있는 탓에 부인 최현실씨와 조카의부축을 받고 천천히 걸어 입국장을 빠져 나왔으나 얼굴은 비교적건강해 보였다.金씨는 검은색 바탕에 흰 무늬의 점퍼차림이었으

    중앙일보

    1996.12.10 00:00

  • 강서구 청소년회관,중랑구,성북구보건소

    강서구 청소년회관은 9월1일부터 3개월간 해외여행및 자녀교육에 필요한「주부 영어교실」을 개설키로하고 30일까지 수강생 20명을 선착순 모집한다.수강료는 월 2만5천원.(607)24

    중앙일보

    1994.08.08 00:00

  • 「엄벌주의」로 깨끗한 물 지킨다|「두산 페놀」 충격…선진 4국 수자원 보호책

    두산전자에 의한 페놀 방류와 낙동강 수질 오염 사건 발생과 관련, 선진국들의 수질 오염 방지책을 소개한다. 미·일·독·불 등 선진 4개국은 각각 50년대와 60년대 공해 방지를 위

    중앙일보

    1991.04.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