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화제의 여성

    제1회 상공미술전 공예부문의 륵상(국무총리상)을 차지한 송광자양. 서울미대 응미과를 나와 모교에서 조교로 일하고있는 22세의 아리따운 아가씨다.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실용적인

    중앙일보

    1966.08.04 00:00

  • 이조의상 8백여점 전시|「여성의 순결」밴 장신구들도

    우리나라의 옛 의상 연구가인 석주청 (56세·동덕여대교수)여사가 30여년 수집한 이조 때의 의상을 공개, 5일부터 15일까지 신세계 백화점 전시장에서 전시하고 있다. 올 봄은 8여

    중앙일보

    1966.06.09 00:00

  • (8)북한·도봉

    서울의 북방을 병풍처럼 둘러싼 북한과 도봉은 서울의 후광이며 기운이다. 오늘의 서울이 여기에서 비롯해 한양이 되었고 백제의 시조 온조왕이 여기에다 성을 쌓고 도읍을 정했다. 고구려

    중앙일보

    1966.04.26 00:00

  • (6)오대산

    암석으로 온갖 기교를 부려 절승을 꾸미다 못해 남은 정기가 설악을 떠나 오대에 이르러서는 토산을 이루어 문수보살의 영기가 스며들도록 아담한 분위기를 이루었으니 실로 조물하신 이의

    중앙일보

    1966.04.12 00:00

  • (2)교산 허균

    조국근대화의 여명기인물로서 이수광의 다음에 들어야 할 이는 그와 같은 시대에 또한 북경에 두 번이나 다녀오는 한편 처음으로 「홍길동전」이라는 국문 소설을 창작한 남인소속의 정객 허

    중앙일보

    1966.03.12 00:00

  • 『마지막 황후 윤대비』

    이조 제27대 순정효황제의 황후 해평 윤씨는 이제 순정효황후란 이름만 남기고 금곡유능에 영면하셨다. 그는 황후와 국모이기 전에 한 인간으로서, 한 여성으로서 한 많은 일생이었다.

    중앙일보

    1966.02.24 00:00

  • 아내의 명칭

    ○…남자들이 자기아내를 타인과 이야기할 때 그 호칭이 가지각색이다. 「우리마누라」「우리 집사람」「우리 여편네」「우리 와이프」「안잠자기」 심지어는 「솥뚜껑 운전수」라는 이조차 있다.

    중앙일보

    1966.02.10 00:00

  • 역사상의 한·월 관계

    우리 나라와 월남과의 역사적 관계는 정사에선 비치지 않는다. 지리적인 거리도 거리려니와 [내셔널·인터레스트]가 얽히고 설킬 겨를조차 없었다. 통일신라 이후 선박의 발달과 불교의 융

    중앙일보

    1965.11.08 00:00

  • (2)여성을 위한 이야기- 미술의 장|보다 아름다운 여성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

    훌륭하게 아름다운 것은, 조화된 비율을 깨뜨려 버리는 또 다른 비례가 있다. 「허버트·리드」 정성을 깃들인 것은 사람의 마음을 백 번 사로잡게 마련이다. 우리들이 아끼고 사랑하는

    중앙일보

    1965.10.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