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K팝·K소설만 있나…한국 시집 22년간 286종 해외 번역

    K팝·K소설만 있나…한국 시집 22년간 286종 해외 번역

    시집 『죽음의 자서전』으로 2019년 캐나다 그리핀 시문학상을 받은 김혜순 시인(사진)을 시작으로, 안톤 허(아래 사진) 등 번역가들이 ‘K-시’를 세계에 알리고 있다. [연합뉴

    중앙일보

    2022.12.22 00:03

  • 한국 시는 어디까지 왔을까? 포문 열린 K-시, 새 바람 넣는 젊은 번역가들

    한국 시는 어디까지 왔을까? 포문 열린 K-시, 새 바람 넣는 젊은 번역가들

    지난 4월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와 박상영 작가의 『대도시의 사랑법』을 번역한 안톤 허(오른쪽)를 필두로 최근 떠오르고 있는 젊은 세대 번역가 집단은 소설뿐 아니라 시 부문의

    중앙일보

    2022.12.21 17:28

  • [삶과 추억] ‘바알간 숯불이 피고’… 하늘로 간 ‘성탄제’ 시인

    [삶과 추억] ‘바알간 숯불이 피고’… 하늘로 간 ‘성탄제’ 시인

    시인이자 영문학자, 문학이론가이자 번역자였던 김종길(본명 김치규) 고려대 영문과 명예교수가 1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91세. 지난달 21일 부인 강신향씨가 세상을 떠나자 그 충격으

    중앙일보

    2017.04.03 01:02

  • '바알간 숫불이 피고'…하늘로 간 '성탄제' 시인

    '바알간 숫불이 피고'…하늘로 간 '성탄제' 시인

    2004년 새 시집을 냈을 때 김종길 시인. [중앙포토]  시인이자 영문학자, 문학이론가이자 번역자였던 김종길(본명 김치규) 고려대 영문과 명예교수가 1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9

    중앙일보

    2017.04.02 19:14

  • '성탄제'의 시인, 김종길 고대 영문과 명예교수 별세

    '성탄제'의 시인, 김종길 고대 영문과 명예교수 별세

     "어두운 방 안에/ 바알간 숯불이 피고,// 외로이 늙으신 할머니가/ 에처로이 잦아드는 어린 목숨을 지키고 계시었다.// 이윽고 눈 속을/ 아버지가 약을 가지고 돌아오시었다.//

    중앙일보

    2017.04.02 12:38

  • “좋은 시조는 눈물이 바탕” 원로 시조시인 정완영 별세

    “좋은 시조는 눈물이 바탕” 원로 시조시인 정완영 별세

    원로 시조시인 백수(白水) 정완영(사진) 선생이 27일 경기도 산본의 요양병원에서 별세했다. 98세.고인은 현대시조 1세대인 가람 이병기와 노산 이은상, 2세대 김상옥 등을 잇는

    중앙일보

    2016.08.29 00:59

  • 문정희 시인, 육사시문학상 선정

    문정희 시인, 육사시문학상 선정

    TBC 대구방송이 제정한 제10회 육사시문학상 수상자로 문정희(66·사진) 시인이 선정됐다. 수상작은 시집 『카르마의 바다』다. 시상식은 27일 경북 안동시 이육사문학관에서 열렸으

    중앙일보

    2013.07.30 00:58

  • [시가 있는 일요일 아침] 가을 하늘

    [시가 있는 일요일 아침] 가을 하늘

    가을 하늘몇 십 년을 두고 가슴에 든 멍이누구도 모르게 품안고 살았던 멍이이제 더는 감출 수가 없어멀건 대낮하늘에다 대고어디 한번 보기나 하시라고답답한 가슴 열어 보였더니하늘이

    중앙선데이

    2012.11.25 02:48

  • 육사 시문학상에 정일근 교수 선정

    경남대 정일근(52·국어국문학과)교수가 제7회 육사 시문학상 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수상작은 시집’ 기다린다는 것에 대하여’(문학과 지성사)이다. 심사위원들은 “운명의 형식으로서

    중앙일보

    2010.07.19 00:18

  • 시조시인 정완영씨 육사시문학상 받아

    시조시인 정완영씨 육사시문학상 받아

    시조시인 정완영(85)씨가 제1회 육사시문학상을 받았다. 수상작은 시조집 '이승의 등불'. 이 상은 이육사 탄생 100주년을 맞아 대구방송(TBC)이 안동병원 후원으로 만들었다.

    중앙일보

    2004.07.30 18:00

  • 정치·사회대신 인간·자연으로 소재 전환

    ○…달관·초월의 시들이 늘고 있다. 지난 세대 자신이 발딛고 사는 정치현실·도시문명을 괴롭게 물고 늘어지던 시인들이 하염없이 동양적 사상이나 자연·유년으로 돌아가고 있다. 세상이야

    중앙일보

    1993.04.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