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2의 고향|이기백

    대학생시절에 나는 대개 겨울을 음침한 이국의 동경에서 지내고 했다. 한국에 비하면 기온이 높은 편이건만, 흐린 날씨에 화롯불 하나를 부둥켜안고「다다미」방에서 지내는 겨울은 춥기만

    중앙일보

    1966.01.08 00:00

  • 여기 미개척의 숱한 보고가…|해양|올해는 수산계의 영세성 벗어날 역사적인 전환점

    바다는 생명의 고향. 태초, 태양 「에너지」와 바닷 속의 갖가지 원소들이 결합하여 잉태한 단세포 생물은 영겁을 지나는 동한 인간에까지 진화해왔다. 인간의 바다를 정복하려는 투쟁은

    중앙일보

    1966.01.01 00:00

  • 수난과 자학으로 저문 교육 1년의 반성

    l965년의 한국 사회는 격동을 겪은 한 해였다. 그리고 이러한 소용돌이 속에서 가장 심한 상처를 입은 것이 다름 아닌 교육계였다는 점에 대해서는 아마도 아무런 이의가 없을 줄

    중앙일보

    1965.12.22 00:00

  • 어렵지만 가능한 「캐나다」이민

    오늘날 한국에서 고조되는 해외 이민과 이를 장려하는 정부의 시책은 고무적인 현실이다. 그러나 근간 「캐나다」에서 가끔 일어나는 한국인에 대한 입국거부·체재기한 연장불허 또는 서울

    중앙일보

    1965.11.27 00:00

  • 자라는 새세대 7백만 어린이|건강 처방전|세계 소아과계의 최고권위 여섯 박사에게 물어본다|본사주최·대한소아과학회와의 좌담회에서

    부모에게는 자기네들 어린이만큼 소중하고 귀여운 것이 있을 수 없다. 잘 생겼든 못생겼든 말을 잘 듣든 잘 안 듣는 어린이만큼 소중하고 귀여운 것이 더 있을 수가 없다. 그런 만큼

    중앙일보

    1965.11.09 00:00

  • 서울의 근대화

    [버스]와 합승요금을 올려 주지않으면 차를 굴리지 않겠다는 통고가 또 나왔다. 얼마전에 그와같은 얘기가 있었을 때, 서울시와 교통부의 태도가 자못 구구했던 반면, 시민의 저항은 대

    중앙일보

    1965.11.04 00:00

  • (4)국악사와 조성씨

    독문학을 하면서 우연히 발들인[외도]30년에 이제 국악에 관한 연구 저서까지 내겠다는 이가 있다. 서울사대부고 독일어교사로서 사대에도 강의 나가는 조성(58)씨는 민요와 판소리는

    중앙일보

    1965.11.02 00:00

  • (4) 기업화한 한국대학

    『학교를 하면 일확천금을 할 수 있단다.』 …우리 나라에는 어느 때부터인가 이런 소문이 입지전의 좌우명처럼 되어왔다. 해방 전 또는 해방 후 조그마한 학원 또는 사설강습소에 불과했

    중앙일보

    1965.09.25 00:00

  • 한국 20대가 보는 일본, 일본 20대가 보는 한국|한·일 젊은 세대의 대화

    상대방을 정확히 인식하고자 노력하는데서 진정한 뜻에서의 친선 관계의 기반은 닦아진다. 편견에 사로잡힌 한·일 두 나라의 구세대와는 달리 상대방에 대하여 체험상의 「이미지」가 없는

    중앙일보

    1965.09.24 00:00

  • 물리·화학에서 자유공학까지『연구」청부업자『바텔」연구소

    「바텔·메모리얼」연구소-일반에겐 낯선 이름이지만 미국 안에선 물론 구라파에까지 널리 알려진 유명한 민간 과학기술연구소다. 23일 그곳 재정담당 부소장인「E·E·슬로터」씨를 단장으로

    중앙일보

    1965.09.24 00:00

  • 완충지대론은 하나의 이상

    20세기에 들어와 사회과학의 정밀성을 강조하는 꾸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연과학과 같이 정확한 경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데에 사회과학의 한계가 주어지 듯이 제아무리 탁월한 「토인비

    중앙일보

    1965.09.23 00:00

  • (1)국토

    지구는 어디서 어떻게 창생 되었으며「한국」은 또한 어떻게 그 탯줄을 이 지구라는 땅덩이에 묻고 고고의 소리를 울렸을까? 그리고「한국」은 어디로 갈 것인가? 급변하는 사회, 각박한

    중앙일보

    1965.09.23 00:00

  • 서울·목포·안동 중심으로|우리나라 첫 실증적인 조사

    우리는 오늘날 한국의 정신풍토를 노래할 아름다운 한 줄의 시를 갖지 못했다. 20년의 사회상황은 그것을 교훈하고 있다. 역시 인간의 성격 구조도 그런 상황에 초연할 순 없다. 사회

    중앙일보

    1965.09.22 00:00